신임 금통위원들이 임명장 전달식 직후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와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서영경, 주상영 위원, 이 총재, 조윤제, 고승범 위원. 한국은행 제공
“한국은행 역사의 변곡점”, “시험대에 오른 중앙은행”. 유례없는 경제위기 국면에서 통화정책을 결정할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신임 위원들이 비상한 각오를 밝혔다.
한은 출신인 서영경 위원은 21일 취임사에서 ‘통화정책의 뉴노멀(새로운 표준) 시대’가 열릴 것으로 전망했다. 서 위원은 “코로나19가 중앙은행의 역할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한은 역사에 하나의 변곡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시장의 충격을 넘어서더라도 경기부진과 고용불안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높아 전례 없는 통화정책이 뉴노멀이 될 수 있다”며 “민간에 대한 원활한 유동성 공급을 위해 추가적인 정책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금융위원회가 추천한 주상영 위원도 취임사에서 지금의 위기 상황을 “정부는 물론 중앙은행의 대응능력이 시험대에 오르는 중차대한 시기”로 규정했다. 주 위원은 “세계경제가 대공황 이후 최악의 경기침체 국면에 놓였다”며 “금융 안정과 경제활력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금통위 사상 첫 연임을 한 고승범 위원은 적극적인 정책 대응을 강조했다. 고 위원은 연임사에서 “위기상황을 맞아 한은의 적극적 역할에 대한 기대가 그 어느 때보다 커져 있다”며 “위기에 적극 대처하기 위한 정책적 판단이 우선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상당기간 어려움이 지속될 실물경제의 회복과 금융시장의 안정을 조속히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주미 대사를 지낸 조윤제 위원은 “지속된 구조적 변화로 상당한 도전에 직면한 한국경제가 코로나19 사태로 비상한 상황에 처했다”며 “안정적이며 지속가능한 성장 과정을 이어갈 수 있도록 통화정책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때 한은 총재 후보 물망에도 올라 ‘총재급 위원’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조 위원은 “금통위원의 한 사람으로서 의장으로 계신 이주열 총재와 동료 위원들의 높은 식견과 경험을 배우면서 꾸준히 공부하겠다”며 자세를 낮췄다.
한광덕 선임기자
kdh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