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통화량 4년5개월만에 최대 증가율
기업 보유액 30조 급증 역대 최대폭
기업 보유액 30조 급증 역대 최대폭
코로나19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들이 대거 유동성 확보에 나선 여파로 3월 시중 통화량이 4년 5개월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3월 통화 및 유동성 동향’을 보면, 기업부문에 대한 신용공급이 급증하면서 통화량(M2)이 1년 전보다 8.4% 늘었다. 이는 2015년 10월(8.8%)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통화량 증가율은 지난해 9월(7.6%) 7%대에 올라선 뒤 올해 2월(8.2%)에는 8%대로 뛰는 등 상승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M2는 현금·요구불 예금 등(M1)에 머니마켓펀드(MMF)·양도성예금증서(CD), 만기가 2년이 안되는 금융상품 등을 합한 넓은 개념의 통화지표다. 기업이 시중에 보유한 3월 통화량은 한달 새 30조4천억원 급증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1년 12월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불확실성이 커지자 기업들이 앞다퉈 현금 확보에 나선 영향이다. 한은은 “기업의 유동성 확보 노력과 정부의 정책금융 지원이 맞물리면서 수시입출식 예금과 저축성 예금 등에 자금이 큰폭으로 유입됐다”고 설명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통화량 보유 규모도 1조5천억원 증가했다. 보험사·연기금 등 기타금융기관의 보유액은 4조9천억원 감소했다. 금융상품별로는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15조2천억원)과 요구불예금(12조3천억원) 등 결제성 예금이 많이 늘었다.
한광덕 선임기자 kdh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