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자율주행 로봇업체 퓨처로봇, 얼굴인식 솔루션업체 넷온과 ‘5G기반 AI방역로봇 사업’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엘지유플러스 제공.
자율주행 로봇이 ‘턱스크’ ‘입스크’ 착용자를 적발해 알려주고, 얼굴 인식과 체온 측정을 통해 증상이 의심될 경우 관제센터로 알림을 보내준다.
엘지유플러스(LGU+)는 자율주행 로봇 개발업체 퓨처로봇, 얼굴인식 솔루션업체 넷온과 함께 ‘5G 기반 AI 방역로봇 사업'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3일 밝혔다.
이 방역로봇은 자율주행으로 건물 내부를 이동하며 얼굴 인식과 온도 측정을 통해 마스크 착용 여부와 체온을 확인하게 된다.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거나 ‘턱스크’ 등 잘못 착용한 사람을 만나면 음성으로 안내하고, 중앙 관제실로 실시간으로 알람을 보낸다. 로봇엔 다중얼굴인식 기술이 적용돼 최대 10명의 얼굴까지 동시에 인식하고, 0.3초 안에 결과를 분석한다. 방역로봇에 탑재된 열화상 카메라는 0.3∼0.5도 오차 안에서 온도를 자동 측정해 37.5도 이상의 체온을 지닌 증상 의심자를 비대면으로 파악할 수 있다.
관제센터에서는 5G 기반으로 원격에서 방역로봇의 모니터링 영상을 확인하고, 실시간으로 제어한다. 3사는 이달부터 서울 H+양지병원에 방역로봇을 투입해 실증에 나서고, 공공기관 등으로 적용 범위를 넓혀갈 계획이다. 엘지유플러스는 지난 8월 서울 H+양지병원에 병원 출입문에서 방문객의 입장 가능 여부를 영상으로 분석하는 ‘지능형 방문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한 바 있다. 이 시스템은 출입문을 지나는 사람의 체온 감지, 마스크 착용여부 확인, 얼굴 인식 등을 통해 출입 허용 여부를 판단한다.
구본권 선임기자
starry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