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5일 서울 영등포구 엘지(LG)화학 본사 앞에서 환경보건시민센터, 일과건강, 기업과인권네트워크 등 8개 단체 활동가들이 엘지화학 인도 공장 유독가스 누출로 인한 주민 사망사고 등에 대해 엘지그룹의 책임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엘지(LG)화학이 내년 중대 사고 ‘제로’를 목표로 환경안전 기준을 새로 정립한다. 지난 5월 인도 공장에서 스티렌 가스 누출로 인근 주민 15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데 따른 후속 조처다.
엘지화학은 전 세계 37개 사업장에서 고위험 공정·설비 긴급 진단을 마치고 총 590건의 개선사항을 도출했다고 7일 밝혔다. 개선사항에 대한 조처는 총 810억원을 들여 완료할 계획이다. 외부 전문기관과 진행 중인 정밀 진단의 경우 올해 안에 마무리한다.
기존의 환경안전 규정 체계는 ‘엠(M)-프로젝트’를 통해 재정립한다. 지난 5월 사내 환경안전·공정기술 전문가와 외부 전문기관으로 구성된 엠-프로젝트는 내년 중대 환경안전사고 0건을 목표로 가동 중이다. 올해 설계와 운전, 유지보수, 법규 등 환경안전 분야에서 25건의 지침을 개정할 예정이다.
빅데이터를 활용해 사고 징후를 예측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도 주력한다. 엘지화학은 현재 여수·대산 석유화학 공장에 파일럿 설비를 구축해 디엑스(DX) 기술을 테스트 중이다. 내년에는 다른 사업장에도 확대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각 사업본부가 맡았던 환경안전 예산·투자는 일원화한다. 올해 안에 관리 주체를 법인 환경안전 조직으로 변경하고, 조직 체계도 전사 차원에서 개선할 계획이다. 엘지화학은 이런 내용을 포함해 올해 환경안전 분야에 총 2350억원의 투자를 집행하고 있다.
엘지화학은 지난 5월 충남 서산과 인도에서 각각 인명 사고가 발생하자 환경안전 강화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전 세계 모든 사업장을 대상으로 긴급·정밀 진단을 실시하는 한편, 설계 단계에서 안전성이 완벽하게 확보되지 않은 투자는 규모와 상관없이 원천 차단하는 아이티(IT) 시스템을 마련한다는 내용이다. 엘지화학 관계자는 “투자 차단 시스템의 경우 올해 말 도입을 목표로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