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지난 추석 연휴를 앞둔 9월26일 전통시장에서 코로나19 긴급방역을 벌이고 있다.
한국은행이 26일 올해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1.1%로 전망했다. 내년 전망치는 3.0%, 2022년은 2.5%로 제시했다.
올해 전망치는 지난 8월에 내놓은 기존 전망치(-1.3%)보다 약간 높다. 내년 전망 수치 또한 8월 때(2.8%)보다 높여 잡았다.
한은 전망대로라면 올해 성장률은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5.1%, 1980년 석유파동 당시인 -1.6%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역성장 또한 세 번째일 정도로 이례적이다.
한은이 마이너스 상태이나마 애초 전망보다 성장률을 조금 높여 잡은 것은 제조업 경기가 살아나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한은은 이날 “제조업 경기가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둔화됐다가 3분기 들어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정보기술(IT) 부문의 경쟁력이 높고 제조업 비중이 높은 산업 구조가 비대면 활동 활성화, 재화 중심의 소비 증가 같은 코로나19 이후의 환경 변화에 우호적으로 작용한 데서 비롯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제조업 경기의 전망을 두고는 “주요국 코로나 재확산 등에 따른 불확실성이 잠재해 있으나 글로벌 경기가 점차 개선되면서 회복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아이티 업종 중심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비’아이티 업종도 완만하게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에 앞서 지난 11일 경제전망 자료를 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한은과 같은 -1.1%로, 내년 성장률은 3.1%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개발연구원은 9월 전망 때는 올해 -1.1%, 내년 3.5%로 전망치를 제시했다.
글로벌 투자은행(IB)들도 한국의 성장률을 애초보다 조금씩 높여오던 분위기였다. 국제금융센터 자료를 보면, 10월 말 현재 바클레이즈, 골드만삭스, 제이피(JP)모건 등 9개 아이비가 전망한 한국의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평균 -1.2%로 집계됐다. 직전 달에 제시한 -1.4%보다 약간 높다. 앞서 국제통화기금(IMF)도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1%(6월 전망)에서 -1.9%(10월)로 높여 제시한 바 있다.
한은은 올해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5%, 내년엔 1.0%, 2022년 1.5%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김영배 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