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창업지원 사업을 안내하는 창업지원포털 케이(K)스타트업 누리집(www.k-startup.go.kr).
코로나19로 기업들의 채용이 위축된 상황에서 창업을 준비하는 이들이라면, 늘어난 정부의 창업지원 사업을 노릴 만하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2021년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창업지원사업은 모두 1조5179억원에 이른다. 이는 지난해보다 662억원이 증가한 금액으로, 역대 최고다.
정부의 창업지원 사업을 안내하는 창업지원포털 케이(K)스타트업 누리집(www.k-startup.go.kr)은 지난해까지 중앙부처의 사업만을 안내해왔으나 올해부터 17개 광역지자체의 사업도 추가해 원스톱 서비스로 제공한다.
정부의 창업지원사업은 코로나19과 비대면 경제 상황을 반영한 신규사업들도 늘어났다. 중기부는 비대면 스타트업 육성(300억원),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300억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보통신기술(ICT) 미래시장 최적화 협업기술개발사업(24억원) 등을 지원사업에 추가했다. 서울시는 핀테크랩(31.9억원)에, 경기도는 크라우드펀딩 연계스타트업 지원(12억원) 등을 신설했다.
광역지자체는 17개 시도에서 104개 사업(53.6%), 811억원(5.3%)을 지원하며 서울시가 14개 사업, 237억원(1.56%)으로 지자체 중 예산 비중이 가장 높다, 경기도 26개 사업에 206억원(1.36%)이고 대전시 10개 사업 77억원(0.5%) 순이다. 지원유형별로는 창업사업화(8745억원, 57.6%), 기술개발(R&D)(4207억원, 27.7%), 시설‧보육(1080억원, 7.1%), 창업교육(828억원, 5.5%) 순이다.
자세한 안내는 케이스타트업 누리집(
www.k-startup.go.kr)과 중기부 누리집(www.mss.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중소기업 통합콜센터(전화 1357)에서 문의할 수 있다.
구본권 선임기자
starry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