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차이즈산업협회와 전국가맹점주협의회가 26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프랜차이즈 상생협의회’ 발대식에서 상생협의회 운영 협약서를 체결했다. 정현식(왼쪽) 프랜차이즈산업협회장과 하승재(오른쪽) 가맹점주협의회 공동의장이 협약서를 내보이고 있다. 가운데는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산업부 제공
정부가 올해 2천억원을 들여 가맹사업의 새 모델 창출과 상생 활동을 지원하기로 했다. 가맹본부와 가맹점의 상생을 꾀하기 위한 자율 협의체도 출범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프랜차이즈 상생협의회’ 발대식을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제3차 가맹사업 진흥 기본계획(2021∼2025)’을 발표했다. 인구 구조, 소비 추세 급변에 맞닥뜨린 가맹사업의 혁신과 상생을 뒷받침하기 위한 목적으로 산업부, 공정거래위원회, 중소벤처기업부 합동으로 마련한 내용이다.
국내 가맹사업 실태 자료를 보면, 2019년 기준 가맹본부 5천개에 가맹점은 27만개에 이른다. 연간 매출은 122조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6.4%를 차지한다. 프랜차이즈 종사자(133만명)는 전체 고용의 4.7% 수준이다. 여기에 392개 브랜드가 세계 58개국에 진출해 있을 정도로 성장했다. 하지만 업종별 편중, 영세성, 가맹본부와 가맹점 간 갈등·분쟁은 풀어야 할 숙제로 꼽힌다.
정부는 먼저 규제혁신과 신기술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서비스를 창출하기로 했다. 공유주방, 즉석식품 자판기 등 새로운 사업 모델을 만들어 내고 피자·커피 제조·서빙 로봇 실증, 사물인터넷(IoT)·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한 가맹점의 탈바꿈을 지원한다. 외식업에 쏠린 산업 불균형을 푸는 방안으로 유망 프랜차이즈 창업·서비스의 표준화를 추진하는 내용도 있다.
정부는 가맹사업의 균형 발전을 위해 광고·판촉 행사 때 가맹본부가 가맹점주로부터 사전에 동의를 받도록 하는 쪽으로 가맹사업법을 개정하기로 했다. 현행법에선 본부가 행사를 벌인 뒤 비용 내역을 점주에게 통보하도록 하고 있을 뿐이다.
이날 행사에서 가맹본부(프랜차이즈산업협회)와 가맹점주(전국가맹점주협의회)는 ‘프랜차이즈 상생협의회’를 만들었다. 양쪽은 ‘상생협의회 운영협약서’를 맺고 소통 확대, 상생정책 발굴·제안, 상생 우수사례 홍보를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기본계획을 충실히 이행해 가맹사업의 역량 확충과 지속적인 상생 협력이 실현될 수 있도록 올해 2080억원을 포함해 5년간 지속해서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