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억 대출시 연간 40~60만원 추가 부담
추가 부동산대책 시기 맞춰
우리은행 이어 국민 등 예정 정부가 이번주에 추가 부동산 대책을 내놓기로 한 데 호응해 주요 시중은행들이 주택 담보대출의 문턱을 높이고 있다. 대출 금리는 높이고 한도는 줄이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신규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이 다소 늘어나고 대출 금액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12일 시중은행들의 움직임을 종합해 보면, 우리은행이 지난 9일부터 주택 담보대출 금리를 사실상 0.20%포인트 올린 데 이어, 국민·신한·하나은행이 이르면 이번주부터 주택 대출 금리를 올릴 것으로 보인다. 이들 주요 시중은행들은 지점장 등이 전결하는 우대금리의 폭을 줄이거나 없애, 자연스레 대출 금리가 오르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국내 최대 은행인 국민은행은 이번주 말, 늦으면 다음주 말이나 다다음주 초쯤 조정된 금리를 적용할 예정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금리 인상 적용 시점을 좀더 앞당기려 했으나, 전산 프로그램에 반영하는 문제 등으로 약간 시간이 걸리고 있다”고 말했다. 국민은행은 영업점장에게 부여된 금리 전결권을 0.20%포인트 줄이는 방식을 채택할 계획이다. 지점장 전결권을 0.10~0.20%포인트 줄일 예정인 신한은행도 이번주 인상된 금리를 적용할 예정이지만, 구체적인 날짜는 잡지 못했다. 하나은행도 이번주부터 본점 전결 금리를 0.50%포인트에서 0.20%포인트로 낮출 방침을 세웠으나, 적용 일자를 확정하지 못했다. 농협과 외환은행은 아직 금리 인상 등 구체적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으나, 정부와 다른 은행들을 의식해 조만간 비슷한 조처를 취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금리 인상은 신규 대출자에게 적용하는 우대금리의 할인 폭을 줄이는 것이어서, 기존 대출자에게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다. 하지만 신규 대출자의 경우, 예를 들어 은행에서 2억원을 빌릴 때 기존 대출자에 견줘 금리가 0.20%포인트 오르면 연간 40만원, 0.30%포인트 오르면 60만원의 이자를 더 내야 한다. 금리 인상과 별도로 주택 대출 한도도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곧 발표할 부동산 대책에 기존의 총부채상환비율(DTI)과 담보인정비율(LTV)를 강화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주택 대출 한도의 축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경 선임기자 연합뉴스 jaewo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