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당 순자산 3억6천만원
우리 ‘국부’ 규모를 드러내는 국민순자산에서 토지자산의 증가세가 가팔라지고 있다. 2015년 국민순자산은 1경2359조5천억원으로 집계됐는데, 토지와 건물 같은 부동산이 87%를 차지했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국민대차대조표(잠정)를 보면, 지난해 국민순자산은 한해 전보다 5.7%(667조2천억원) 늘어 국내총생산(GDP·1558조6천억원)의 7.9배 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토지자산의 규모는 부동산 거품이 정점에 이르렀던 2007년에 국내총생산 대비 445배까지 늘었다가 2013년에 413배로 주춤했다. 그러나 2014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서 2015년에는 422배로 나타났다. 이는 땅값 상승이 국민순자산 증가에 기여도가 컸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비생산자산에 속하는 토지자산은 2015년 6574조7천억원으로 국민순자산의 53%를 차지했다. 토지자산 규모는 지난해 5.9%가 늘어나, 전년도 증가율 5.2%를 앞질렀다.
2014년 기준으로 분석된 권역별 토지자산 규모 변동 추이를 보면, 세종시와 혁신도시 개발 영향으로 수도권(3.4%)보다 비수도권 지역(8.0%)이 증가세를 주도했다. 특히 제주도가 21.5%로 증가율이 가장 높았고, 대구와 세종시가 각각 13.1%, 12.5%로 뒤를 이었다. 반면 생산자산에 속하는 건설자산은 지난해 4166조4천억원으로, 증가율(2.4%)이 전년(4.0%)에 견줘 둔화했다. 지난해 주거용 건물 투자가 많이 이뤄졌으나, 실제 착공과 시차가 있는데다 건축 자재 단가 하락의 영향을 받았다. 공장기계와 운송장비 등을 이르는 설비자산은 694조2천억원으로 지난해 증가율(6.0%)이 전년(1.9%)보다 크게 높아졌다. 한은 쪽은 “지난해 자동차와 항공기 교체수요가 많았던데다 철도 유지 보수가 많이 이뤄진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가계와 비영리단체의 가구당(2.55명 기준) 순자산은 3억6152만원으로 추정된다. 국가별 구매력을 반영한 환율 기준으로 가구당 순자산은 40만5천달러로, 미국의 66% 수준이었다. 또 가계 등의 순자산에서 토지·건물 등이 대부분인 비금융자산의 비중이 75.6%를 차지했다. 미국(34.9%), 일본(44.3%), 캐나다(55.1%), 영국(57.4%) 등에 견줘 부동산에 묶인 비중이 훨씬 높은 상황을 드러낸다. 가계의 대표적 자산인 주택의 시가총액은 지난해 말 3519조5천억원으로 지디피의 2.26배 규모로 나타났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