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임팩트금융추진위원회 발족 기자회견에서 이헌재 위원장(오른쪽 네 번째) 등 위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가 주도하는 임팩트금융추진위원회가 27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유치해 주거, 환경, 보육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금융 사업에 나선다.
임팩트금융추진위는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출범식을 열어 이런 사업 추진 계획을 밝혔다. 임팩트금융이란 ‘사회적 금융’의 다른 말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기업이나 조직에 대출을 해주거나 투자하는 금융을 이른다. 이 전 부총리가 위원장, 재단법인 한국사회투자의 이종수 이사장이 단장을 맡고, 황영기 금융투자협회장, 이혜경 한국여성재단 이사장 등 20여명이 참여한다. 이헌재 위원장은 “사회적 변화가 빠르고 문제도 다양해져 정부의 톱-다운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한계가 있다”며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젊은이의 창의적인 노력을 뒷받침하는 일도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추진위는 7월까지 유한회사 법인인 한국임팩트금융(IFK)을 설립하고, 그 밑에 사모펀드운용사인 임팩트캐피털코리아(ICK)와 재단법인 한국사회투자를 두는 형식으로 조직을 운용할 예정이다. 한국사회투자는 마이크로크레디트 사업을 하던 사회연대은행에서 출발한 조직으로 수년간 서울시 사회투자기금을 위탁받아 운용하면서 공유경제 모델로 카셰어링 업체인 ‘쏘카’ 사회적 프로젝트를 수백억원의 외부 유치를 받는 사업으로 키워낸 바 있다.
현행법상 재단법인은 사업은 할 수 있지만 투자는 할 수 없다. 임팩트금융 쪽은 재단법인 기금을 활용한 사업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기업과 프로젝트에 사모펀드 형태로 투자를 하도록 이끌어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 10월까지 500억원의 기금과 200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해 초기 사업을 시작하는 한편, 추후 사모투자펀드 형태로 소셜벤처, 소셜하우징과 지역재생, 사회적 프로젝트, 지역 임팩트금융기관 육성 네가지 영역에서 2천억원 규모의 투자자를 모집한다. 이밖에 추진위는 내년 3월 글로벌 임팩트금융 추진기구(GSG)에 한국이 가입하는 것을 목표로 민간 차원의 임팩트금융자문위원회(NAB) 구성을 준비하고 있다.
이종수 추진위 단장은 “임팩트금융은 근본적으로 정부가 실패한 사회적 의제에 민간이 뛰어들어 금융을 통해 사회 변화를 이끌어가고, 투자자에게 이익을 돌려주는 것”이라면서도 “소셜 하우징이나 지역재생 등 정부와 접점이 필요한 부분에선 협력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home01.html/◎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