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금융·증권

주총안건 2.8%만 반대…기관투자가 여전히 ‘거수기’

등록 2017-07-05 17:08수정 2017-07-06 10:50

‘대신지배구조연’ 올 주총 분석
2만72개 의안중 536건 “반대”
의결권 불행사는 47.5% 급증

삼성자산운용 변신 눈길
지난해는 반대 0, 올핸 98건
삼성전자 주주총회 모습.
삼성전자 주주총회 모습.
기관투자가들이 올해 상장사 정기 주주총회에서 안건에 반대한 비율이 2.8%에 그쳐 여전히 거수기 구실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대신지배구조연구소가 조사한 올해 상장기업 정기 주총 안건에 대한 의결권 행사 현황을 보면, 상장사 692곳의 2만72개 의안에 대해 기관투자가(112곳)가 반대한 건수는 563건(2.8%)으로 집계됐다. 외국계 자산운용사들의 반대비율이 6.5%에 달해 평균치를 다소 끌어올렸다. 라자드코리아자산운용은 52개 안건(10.1%)에 반대표를 던졌다. 반면 대기업 계열 운용사(2.4%)와 은행·보험 등 금융그룹 계열사(1.8%)의 반대 비율은 독립적인 자산운용사(3.7%)는 물론 전체 평균에도 못미쳤다.

※ 그래픽을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국내 대형 자산운용사 가운데 삼성자산운용의 변신이 눈길을 끈다. 지난해 주총에서 119개 상장사의 의안에 단 한건도 반대하지 않았던 이 운용사는 올해는 98개 안건(15.9%)에 반대표를 던졌다. 삼성자산운용은 “의안 분석기관인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자문서비스를 도입해 의결권 행사 시스템이 정착됐다”고 설명했다.

기관투자가의 안건 반대비율이 높은 상장사는 효성(18.2%), 포스코(15.8%), 현대모비스(8.8%), 삼성물산(8.3%), 현대자동차(7.7%) 차례였다. 효성의 경우 지난 3월 주총에서 감사위원 선임안에 반대표가 집중됐다. 외국계인 베어링자산운용은 당시 “감사위원 후보 3명이 지금 재임중인 이사진으로서, 횡령·배임 유죄 판결이 난 대주주 일가를 경영에서 배제시키지 못했다”는 책임을 물어 선임안에 반대했다. 포스코 주총에서는 권오준 회장의 재선임안에 유럽 2대 연기금인 네덜란드 에이피지(APG)자산운용 등의 반대표가 쏟아졌다.

반면 국내 기관투자가들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안건에 대해 반대는커녕 아예 의결권을 행사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기관투자가의 의결권 불행사는 1142건으로 전년보다 47.5% 급증했다. 반대 의결권 행사 건수와 견주면 두배를 넘는다.

기관투자가들의 적극적인 의결권 행사를 유도하기 위한 스튜어드십 코드가 지난해 12월 제정됐지만 국내 기관들의 태도는 달라지지 않은 셈이다. 안상희 대신지배구조연구소 연구위원은 “주주가치와 기업 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이해관계자 사이의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30대 그룹 소속 계열사가 한국거래소의 조회공시 요구에 대해 ‘미확정’으로 답변한 비중이 77.8%로 다른 일반기업(55.8%)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확정 공시란 뉴스나 풍문에 대한 사실 확인 요구에 ‘검토 중이지만 최종 결정된 것은 없다’ 따위로 답변하는 것을 말한다. 30대 그룹 계열사의 답변이 상대적으로 불투명한 내용이 많았다는 얘기다. 30대 그룹 가운데 지난해 미확정 공시 비중이 높았던 곳은 에스케이(SK), 삼성, 동부그룹 순이었다.

한광덕 선임기자 kdhan@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1.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2.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3.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4.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5.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