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시스템 도입 후 주식 불공정거래 혐의 판단. 한국거래소 제공.
온라인 게시판이나 증권 카페 등에서 허위성 정보를 올려 시세조종을 하는 이들을 인공지능이 잡아낸다.
한국거래소는 인공지능(AI)으로 시세조종 등 주식시장의 불공정거래를 찾아내는 시스템을 오는 4월부터 도입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날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18년 업무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거래소는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시장감시시스템’을 오는 3월 테스트를 거쳐 4월 말께 가동한다.
최신 인공지능 모델 XGBoost를 사용한 이 시스템은 인공지능이 불공정거래 혐의 여부를 자동 발견하고 복잡한 거래 패턴을 학습해 새로운 불공정거래 유형까지 찾아낼 수 있다고 거래소는 설명했다. 시스템이 도입되면 이전에 불공정거래에 쓰인 혐의 계좌를 찾아내는데 5일 정도 걸렸던 시간이 1시간으로 단축된다.
예를 들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나 증권 게시판 등에 허위 호재성 정보를 띄워 시세조종을 하는 이들을 적발할 때 이전처럼 직원이 일일이 의심 계좌를 대조하는 대신, 인공지능은 과거 적발 사례와 유사한 매매 형태 등 여러 데이터를 조합해 이들의 매매 계좌를 추려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해 위치정보와 불공정거래 간 연계성을 분석하는 기능도 담겼다. 상장사의 소재지 주변에서 주문이 일어나는 경우 내부자 미공개정보 이용이 있었을 가능성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게릴라형’ 초단기 시세조종 조기 적발 체계를 마련해 종목 중심으로 진행했던 감시를 계좌 중심으로 전환할 수 있다고도 설명했다.
기존 불공정거래 적발부터 심리, 조사, 혐의 확인 등의 전체 절차가 평균 60여일이 걸렸던 것이 40여일로 줄어들 전망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빅데이터·인공지능 기술 적용으로 불공정거래에 대한 ‘사전예방 시장감시’로 패러다임의 전환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