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채용 비리에 연루된 최흥식 금융감독원장이 12일 전격 사의를 표명한 것은 여론 악화에 따른 청와대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본인의 결백을 강조하며 정면 돌파를 자임했던 최 원장은 반나절도 안되어서 자리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혔다. 최 원장의 사임으로 ‘채용 비리 엄단’에 대한 정부 대응의 강도가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보여, 향후 금융권 안팎에 미칠 파장이 주목된다.
이날 정부 고위 관계자는 ‘최 원장의 사임 배경’에 대해 “(청와대와 정부가) ‘채용 비리에 누구도 예외가 될 수 없다’는 강력한 신호를 보낸 것으로 봐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최 원장은 불거진 의혹에 대해 소명할 수 있다고 봤지만 국민 눈높이에는 미치지 못한 것 같다. 관행이란 이름으로 이루어져온 불공정한 채용 문제에 대해 정부가 매우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의미”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최 원장은 2013년 하나금융지주 사장으로 일하면서 대학 친구 아들을 하나은행에 추천했지만, 채용 과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았다고 항변해왔다. 하나금융 쪽도 “점수 조작 등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최 원장의 사임에 따라, 설령 별도의 점수 조작이나 영향력 행사가 없었더라도 ‘추천 행위’만으로도 문제의 소지가 충분하다는 점이 분명해진 셈이다.
금융당국은 앞으로 금융권에 대한 고강도 채용비리 점검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금감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어, 앞으로 유광열 수석부원장 대행체제로 가는 한편 특별검사단을 꾸려 최 원장 관련 의혹은 물론이고 하나은행 채용 비리 전반을 면밀하게 들여다보겠다고 밝혔다. 첫번째 점검 대상은 관련 의혹이 불거진 하나금융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에선 3연임을 앞둔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 등 하나금융 고위 임원들이 모두 채용 비리 점검 대상에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최 원장이 채용 추천을 한 당시 하나금융 회장은 김정태 현 회장인 데다, 그간 신입 사원을 채용할 때 외부에 공개하지는 않은 채 내부적으로 ‘임원 추천 제도’를 운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최 원장에 적용된 잣대를 적용할 경우, 특정인을 추천한 하나금융 고위 임원들한테도 파장이 미칠 수 있다.
일부에선 최 원장에 대한 의혹이 하나금융과 금융당국 간의 극심한 갈등 속에서 불거졌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 앞서 김정태 회장의 3연임 시도에 대해 최 원장은 물론 최종구 금융위원장까지 나서 ‘셀프 연임’이라고 비판하자, 하나금융 쪽은 ‘민간 기업에 대한 부당한 인사 개입’이라며 맞서왔다. 시중은행 부행장을 지낸 인사는 “단순한 채용 비리 사건으로만 보기 어렵다. 최 원장 관련 의혹 자체가 하나금융 내부자가 아니면 알 수 없는 내용이지 않느냐”고 말했다. 하나금융이 진흙탕 싸움에 당국을 끌어들인 모양새라는 것이다. 금융노조는 이날 논평을 내어 “(배후에) 김정태 회장의 3연임을 당연시하려는 물타기 시도가 있다면 악의적인 의도의 배후임에 틀림없다”고 주장했다.
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home01.html/◎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