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연구원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을 3.1%로 올려 잡았다. 민간 소비 확대와 수출 호조로 성장세가 지속한다는 판단에서다.
금융연구원은 1일 발표한 ‘2018년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2.8%(지난해 11월)에서 3.1%로 0.3%포인트 올렸다. 이는 한국은행과 정부, 국제통화기금(IMF),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내놓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인 3.0%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9%, 현대경제연구원과 엘지(LG)경제연구원은 2.8%로 각각 전망한 바 있다.
연구원이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한 배경에는 민간소비 확대와 세계 경기 호조로 수출 증가에 대한 기대감이 있다. 금융연구원은 최근 가계 실질 소득이 반등하고 기초연금 인상, 아동수당 도입, 주택입주 물량 급증하면서 민간 소비가 2.8%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아이엠에프가 세계경제 성장률을 올해 3.9%로 전망하면서, 세계 무역 또한 활발해질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다만 둔화한 건설·설비투자 증가율과 부진한 고용 상황은 성장의 ‘마이너스’ 요인이다. 올해 설비투자 증가율은 3.6%로 지난해 14.6%보다 상당폭 낮아질 전망이다. 금융연구원은 올해 취업자 증가폭이 지난해보다 5만명 줄어든 27만명, 실업률은 0.2%포인트 오른 3.9%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연간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하반기보다 0.1%포인트 내린 1.7%, 3년물 국고채 금리는 연평균 2.4%로 내다봤다. 경상수지 흑자는 693억달러로 지난해(785억달러) 대비 줄어들며 통관기준 수출과 수입은 각각 6.2%, 8.5% 증가할 것으로 봤다. 올해 연평균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064원으로 전망했다.
금융연구원은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해와 같은 수준이지만 불확실성은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남북관계 개선으로 남북경협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 미국 금리 인상, 가계부채 누적, 주력 산업의 구조조정 가능성 등을 불확실성 요인으로 꼽았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