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두달 연속 상승하며 1년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신규 연체 발생액이 연체채권 정리규모보다 많아 연체채권 잔액이 증가한 영향이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5월말 기준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이 0.62%로, 4월 말(0.59%)보다 0.03%포인트 올랐다고 3일 발표했다. 지난해 같은 달(0.58%)과 비교해도 0.04%포인트 상승했다. 2016년 11월 연체율 0.64%를 기록한 뒤, 1년반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신규연체 발생액만 1조4천억원으로 연체채권 정리규모(8천억원)보다 많아, 연체채권 잔액(9조6천억원)이 6천억원 늘어났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0.91%로, 전월 말(0.86%)과 비교하면 0.05%포인트 올랐다. 대기업 대출 연체율은 1.81%,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69%로 전월 말보다 각각 0.05%포인트씩 상승했다. 대기업 연체율의 경우, 성동조선해양의 회생 절차 개시로 지난 4월 대기업 연체율이 0.45%에서 1.76%로 급등한 여파가 이어진다는 설명이다.
가계대출 연체율(0.28%)은 전월 말(0.27%) 대비 0.01%포인트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19%로 지난 4월 말(0.19%)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신용대출 등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 연체율(0.50%)은 0.04%포인트 올랐다.
금감원은 “앞으로 시장금리 상승 등에 따른 연체 증가에 대비해 신규 연체 발생 추이를 지속해서 모니터링 하겠다”고 말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