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보험 찾아줌(http://cont.insure.or.kr) 누리집 갈무리
지난 6개월 동안 가입자들이 찾아간 숨은 보험금이 2조1426억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이 추산한 숨은 보험금은 7조원으로, 아직 5조원 상당의 보험금이 주소 이전 등으로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1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12월18일부터 지난 6월 말까지 숨은 보험금 통합 조회서비스 ‘내보험 찾아줌’(
http://cont.insure.or.kr)에서 보험 소비자들이 찾아간 금액은 2조1426억원(187만건)으로, 1건당 약 115만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보험 업권별로는 생명보험사가 약 1조9674억원(171만건), 손해보험회사가 1752억원(16만건)을 지급했다. 보험금 유형별로 보면, 중도보험금 1조2947억원(142만3천건), 만기보험금 5501억원(12만3천건), 사망보험금 1189억원(1만1천건), 휴면보험금 1789억원(31만4천건)을 소비자에게 돌려줬다. 지난 연말 한달 동안 캠페인을 통해 보험사가 숨은보험금이 있는 모든 보험소비자들에게 행정안전부 협조를 받아 계약자의 최신 주소로 약 322만건의 안내우편을 직접 발송하기도 했다.
‘내보험 찾아줌’ 청구연계 서비스 화면(가안). 금융위는 올해 연말 안에 누리집에서 보험금 청구까지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할 예정이다. 금융위 제공.
금융위는 보험금 청구까지 누리집에서 쉽게 할 수 있도록 올해 연말까지 시스템을 개선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보험금을 조회한 뒤 찾으려면 보험사 콜센터 등에 직접 연락해야 했지만, 온라인에서 조회하면 같은 창에 ‘청구’할 수 있는 링크 버튼을 만들어 원스톱으로 보험금 청구까지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일부 제출 서류도 간소화한다. 자녀 중학교 입학축하금 등 소액 중도보험금을 받지 못한 경우에 생존확인 서류까지 내야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 절차를 생략하고 계약만기 때 한번에 확인하는 방안으로 추진한다. 다만 사고분할보험금 및 연금보험금은 보험금 규모가 매우 크고, 지급시점에 엄격한 생존확인 등이 불가피해 일괄 온라인 청구 대상에서 제외된다.
아울러 숨은보험금 온라인 청구에 불편을 겪을 수 있는 고령 소비자 등을 위해 ‘콜 백(call back)’ 서비스를 도입한다. 보험금을 조회한 뒤 전화번호를 남겨 콜백 서비스를 신청하면 해당 보험사 상담직원이나 설계사 등이 전화로 숨은보험금 청구절차 안내하는 방식이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