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사용 20년]
뭔가가 잘못 됐다
점주들 수수료 신음하고
현금 내는 저소득층이
같은 물건을
더 비싸게 사는 형국
[의무수납제 20년]
카드결제 거절하면 불법
카드고객 차별해도 불법
이번엔 폐지될 분위기
카드업계도 “때가 됐다”
금융위TF 올해안에 결론
뭔가가 잘못 됐다
점주들 수수료 신음하고
현금 내는 저소득층이
같은 물건을
더 비싸게 사는 형국
[의무수납제 20년]
카드결제 거절하면 불법
카드고객 차별해도 불법
이번엔 폐지될 분위기
카드업계도 “때가 됐다”
금융위TF 올해안에 결론
그래픽_김승미
점주들 “이 카드는 안받아요”
수수료 협상력 상승
고객이 현금으로 결제할 때
깎아줘도 합법 [걱정도 솔솔]
매출 떨어지면 어쩌나
정부가 하던 수수료 협상
영세한 개인이 하면, 잘 될까? 현금과 신용카드의 혜택 차이가 소비자들끼리의 ‘역진적 차별’이라는 결과를 낳는다는 점도 의무수납제 폐지 논리를 지지한다. 한국은행의 ‘2017년 지급수단 이용행태 조사결과’를 보면, 저소득층과 고령층일수록 신용카드 결제비중이 떨어지고 현금 결제 비중이 올라간다. 돈 없는 이들이 같은 물건값을 더 비싸게 주고 사는 셈이다. 카드 이용자가 할인받는 가격은 알게 모르게 저소득층인 현금 소비자들에게 전가되고 있는 것이다. 가맹점들은 의무수납제가 폐지되면, 이 점을 이용해 실제 소비자들의 카드 결제를 거부하기보다는 카드사들에 대한 수수료 협상력을 높이는 것을 기대한다. 고객이 현금을 지불할 때 수수료만큼 물건값을 깎아주는 ‘가격 차별’을 시행하면, 수수료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현금을 내도록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현실적으로 카드를 받지 않으면 매출도 떨어지기 때문에 개별 영세 가맹점은 오히려 대형 카드사들에 대한 협상력이 정부 주도로 수수료가 결정될 때보다 더 떨어질 수 있다는 반론도 있다. 강경훈 동국대 교수(경영학)는 “오스트레일리아도 의무수납제를 폐지하면서 영세 가맹점의 협상력이 떨어지게 나타났었다”며 “마치 노조처럼 영세 가맹점들끼리 뭉쳐서 수수료를 협상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의무수납제 폐지로 가맹점들의 세금 회피 유인이 커지는 점에 대해선 현금영수증 의무화 조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뒤따른다. 신용카드의 혜택이 줄어도 할부와 외상이 가능하다는 강점 때문에 다른 결제수단에 대한 부가 혜택과 신용카드에 대한 불이익이 동시에 따라와야 전반적인 ‘사회적 비용’이 낮은 방향으로 지급결제 구조가 바뀐다는 지적이 나온다. 유럽 주요 국가에선 이미 신용 리스크 관리 비용 등이 필요한 사회적 비용이 큰 지급수단인 신용카드 이용 비중을 감축하려고 가맹점이 소비자에게 추가수수료를 부과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도 한다. 구정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단순히 가맹점주 부담 완화가 아닌, 국내 소매 지급결제시장을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이며 비용부담이 적은 쪽으로 유인한다는 목표가 분명해야 한다”며 “비용구조가 큰 신용카드 비중을 낮추기 위해 현금이나 체크카드·제로페이 등의 소득공제는 확대하고, 기존 신용카드 소득공제는 폐지하는 등의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