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관리지표 도입으로 대출 규제가 촘촘하게 강화됐지만 은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비대면 대출을 받는 직장인들의 대출 한도는 늘어난다.
4일 최근 개정된 은행연합회 ‘여신심사 선진화를 위한 모범규준’을 보면, 은행이 비대면 대출을 심사할 때 직장인에 대해선 소득이 더 많더라도 그동안 5천만원을 상한으로 계산했는데, 앞으로 연 소득 100%를 인정하기로 했다. 가계부채 관리지표인 디에스아르는 개인의 모든 종류의 대출 원리금을 연 소득으로 나눈 값이라, 분모가 되는 소득이 높을 수록 대출도 많이 받을 수 있다.
현재 은행에서 대출을 받기 위해 소득을 증빙할 때,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등 ‘증빙소득’과 국민연금이나 건강보험료 납부명세 등 ‘인정소득’이 있다. 증빙소득은 제출 금액의 100% 소득 인정이 가능하지만, 인정소득은 환산한 연 소득의 95%, 최대 5천만원까지만 인정됐다. 추정 소득이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예컨대 연 소득이 5천만원이더라도, 건강보험료나 국민연금 납부명세를 제출하면 95%인 4750만원이 연 소득으로 산정됐다. 또 연봉이 7천만원인 대출자도 연봉의 95%인 6650만원이 소득이 아니라, 소득 상한선인 5천만원으로 반영됐다. 모범규준을 직장인에 한해서 이렇게 바꾼 이유는 ‘유리지갑’인 직장인의 특성상 국민연금이나 건강보험료 납부명세를 자의적으로 속일 수 없기 때문에 ‘인정소득’도 증빙소득과 마찬가지라고 본 것이다.
인터넷전문은행과 시중은행의 비대면 대출은 당장 즉각적으로 한도가 늘어나게 됐다. 인터넷으로 접수하기 힘든 증빙소득 대신, 고객 동의를 받아 자료를 긁어 올 수 있는 인정소득으로 대출자 소득을 확인해왔기 때문이다. 소득 5천만원 이하 대출자들에 대해서도 5%만큼은 대출 한도가 더 늘어나는 효과가 생겼다.
한편, 주요 시중은행들은 디에스아르 70%를 넘어서는 ‘위험대출’에 대해선 은행 본점의 심사를 받도록 방침을 개선했다. 그동안 지점 차원에서 전결했지만, 비율을 직접 관리해야 하는 기준선 70% 이상의 대출은 본점에서 종합적으로 심사해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앞서 은행권이 디에스아르 70%를 넘는 대출은 15%, 디에스아르 90% 초과 대출은 10% 이내로 관리해야 한다는 지침을 내린 바 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