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범 금융위 부위원장이 19일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자본시장 혁신과제 세부방안 의견수렴 현장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금융위 제공.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증권회사의 중소기업 자금중개기능 활성화를 위해서는 시장에 새로운 플레이어의 진입을 촉진해야 한다”며 “한달 안에 구체적 방안을 발표하겠다”고 19일 밝혔다.
금융위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자본시장 혁신과제 의견수렴 현장간담회’를 열고 중소기업금융 전문 증권사 진입 촉진, 개인 전문투자자 확대, 코넥스 시장 기능 강화에 대한 업계 의견을 들었다.
김 부위원장은 “현재 획일적이고 높은 증권사의 진입규제와 영업행위 규제체계로는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낮은 중소기업 비즈니스를 제대로 수행할 증권사 출현을 기대하기 어렵다”며 “미국의 자본조달중개인(Capital Acquisition Broker) 제도를 참조해 진입규제와 영업행위 규제를 대폭 완화, 증권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자 한다”고 말했다. CAB는 기관투자자 대상으로 비상장증권 중개, 인수합병 자문 등 일부 기업금융업무에 특화된 중개업을 일컫는다. 업무범위가 제한적인 점을 고려해 준법성 검사·서류제출 의무 경감, 사업연속성계획 면제 등 완화된 규제를 적용받는다.
아울러 김 부위원장은 중소·비상장기업에 대한 투자는 상대적으로 리스크도 크고, 투자금 회수에도 오래 걸리기 때문에 중소기업 투자할 의지와 역량이 있는 개인 전문투자자군을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개인 전문투자자는 엄격한 진입 요건과 복잡한 절차로 약 2천명이 등록한 상황이다. 또 중소기업의 자금조달 지원과 초기 벤처투자자의 회수시장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하며 설립된 코넥스 시장의 기능 강화 방안에 대해서도 업계에 의견을 당부했다.
이날 업계 간담회에는 한국거래소 코스닥 본부장, 코넥스 상장기업, 벤처캐피탈, 엔젤투자자, 증권회사, 코넥스협회, 금융투자협회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