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이 75조1천억원 늘어났다. 이는 2014년 이후 4년만에 가장 낮은 증가폭이다. 올해엔 제2금융권에도 대출 관리지표가 도입돼 대출 둔화세 기조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10일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집계한 ‘12월 가계대출 동향’을 보면, 지난달 금융권 가계대출은 6조5천억원 증가했다. 증가폭은 2017년 12월보다 5천억원 늘었고, 전달(11월)과 비교하면 1조5천억원 줄었다. 특히 은행 주택담보대출이 4조9천억원 늘어 11월 대비 6조7천억원, 전년 같은달 대비 1천억원 증가했다. 버팀목 전세대출로만 약 1조원의 은행재원을 쓴 데다가, 4분기 잔금을 치르려는 집단대출이 1조6천억원 증가한 영향이 컸다. 금감원 관계자는 “두 가지 요인을 제외하면 2017년 12월과 비교했을 때 5천억원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전체 가계대출 규모는 75조1천억원 늘었다. 이는 2017년 대출규모보다 5.8% 늘어난 수치로, 2014년 이후 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17년 31조7천억원이던 제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폭이 지난해 14조6천억원으로 절반 넘게 줄어든 영향이 컸다. 다만 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폭은 2017년 58조9천억원에서 지난해 60조8천억원으로 늘었다. 하반기에 9·13 부동산 대책과 개인 소득대비 부채 수준을 따지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관리지표가 도입됐지만, 시행 이전까지 집값 대출 수요가 컸던 탓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올해 2금융권에 대한 디에스아르 확대 시행, 가계부문 경기대응 완충자본(은행이 쉽게 가계대출을 늘리지 못하도록 가계신용 비중에 비례해 자본적립의무 부과) 도입 등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더욱 안정화할 것”이라며 “금리 상승시 취약·연체차주 중심으로 상환부담이 가중될 우려가 있어, 취약차주 보호를 위한 지원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