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이 안정적으로 자금을 운용할 수 있도록 신용평가체계에 외상거래 관련 지표도 반영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13일 한국금융연구원 이수진 연구위원은 ‘신용거래정보를 이용한 소상공인 신용평가체계 개선 방안’ 보고서에서 “금융당국이 내놓은 소상공인 지원방안은 외상거래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며 이처럼 지적했다. 2018 ‘소상공인 금융실태 조사’를 보면, 실제로 소상공인이 겪는 어려움은 금융기관 대출곤란(12.2%)보다 대금회수 부진(12.8%)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도·소매업이나 음식·숙박업에 종사하는 소상공인들이 대부분 공급사슬망 안에서 외상거래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골목 슈퍼는 통상 취급 상품의 50% 이상을 짧게는 일주일에서 길게는 한달 이상 무담보 외상으로 또 다른 소상공인인 중소규모 도매업자한테 구매한다. 슈퍼가 망할 때 도매업자는 대금을 회수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이기 쉽다는 뜻이다.
지난달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자영업자 금융지원 및 관리 강화방안’은 개인사업자대출을 심사할 때 카드 매출 등 다양한 데이터를 반영해 자영업자에 대한 신용평가를 고도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정책은 소상공인이 금융사 대출 등 자금 조달이 필요한 경우에 도움이 되지만, 외상거래 등으로 인한 상시적인 리스크는 해결하기 어렵다.
이 연구위원은 미국의 신용조회회사 던앤브래드스트리트(D&B)가 거래처별 평균 결제 소요 기간, 총외상매출금액 등을 분석한 리포트를 작성해 업체가 자금운용 관리에 도움을 주는 방식을 참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위원은 “신용(외상)거래는 당장 구매자금이 부족해도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거래를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구매처 부도 등으로 판매대금 회수 불능 등 비용이 장점보다 커 소상공인의 경쟁력 저하를 가져온다”며 “외상매출금을 제때 지급하는 거래 상대방을 선별하고 이들과 주로 거래하면서 소상공인들이 안정적으로 자금을 운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신용거래 행태를 반영한 신용평가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