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이 낮을수록, 고령일수록 금융이해력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8 전 국민 금융이해력 조사결과’를 보면, 국내 성인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62.2점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64.9점, 2015년)보다 낮았다. 이번 조사는 만 18∼79살 국민 24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8∼9월 진행했다.
금융이해력은 금융지식, 금융행동, 금융태도 등 3개 분야로 나눠 조사했다. 금융지식(65.7점), 금융행위(59.9점) 및 금융태도(61.3점) 모두 오이시디 평균보다 낮았다. 직전 조사인 2016년(66.2점)과 비교해도 4점이 낮아졌는데, 금감원 관계자는 “이번에 조사표가 바뀌었지만 아직 다른 나라는 조사결과가 나오지 않아 일률적으로 비교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조사 결과를 소득별로 보면, 금융이해력에 ‘양극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 소득 420만원(연 5천만원) 이상은 65.6점으로, 월 250만원(연 3천만원) 미만(58.0점)에 비해 7점 이상 높았다. 평균은 62.2점이었다. 연령대별로는 60~70대 노년층이 ‘금융취약계층’이었다. 금융이해력 점수가 각각 59.6점, 54.2점으로 전체 평균(62.2점)보다 낮았다.
청년층은 금융지식 점수는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지만 금융행위(58.4점)와 금융태도(57.7점)는 낮았다. 특히 금융태도에서 ‘저축보다 소비 선호’나 ‘돈은 쓰기 위해 존재한다’는 항목에 동의하는 비율이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다. 경제활동이 불안정해 미래보다 현재에 더 가치를 둔 소비를 선호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경제상황이 안 좋다보니 금융행동 중 하나인 재무목표 세우는 것도 어려운 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저소득층과 노년층 등 금융취약계층에 대한 경제·금융교육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