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상여금 효과 등으로 지난 1월 4년만에 감소했던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이 2월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다만 ‘9·13 주택시장 안정대책’과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시행 등으로 주택매매가 위축되면서 증가폭 자체는 예년에 비해 둔화하고 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은 ‘2월 전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지난해 2월(+3조3천억원) 대비 2조원 줄어 1조3천억원으로 집계됐다고 13일 밝혔다. 전달(-4천억원)과 비교하면 증가 규모가 1조7천억원 늘었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증가 규모는 지난해 2월(+2조원)과 견주면 1조원 줄어 1조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은행권은 2조4천억원 증가했지만 2금융권이 1조4천억원 줄면서 증가폭 둔화를 이끌었다. 2금융권은 1월(-1조7천억원)에 이어 두달 연속 감소했다. 은행권 주담대는 지난해 2월(+1조8천억원) 대비 6천억원 증가했고, 전달(+2조7천억원) 대비 3천억원 줄었다. 금융당국은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등 은행권 정책상품의 은행재원 취급분(+5천억원) 등의 영향으로 은행권 주담대가 약 6천억원 증가한 것을 제외하면, (2월 증가 규모가) 지난해 2월 증가폭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 증가폭도 둔화했다. 은행권 기타대출은 1천억원 증가했는데, 지난해 2월(+7천억원) 증가 규모와 비교하면 증가폭이 6천억원 줄었다. 2금융권 기타대출도 지난해 2월(+6천억원)과 비교하면 4천억원 감소해 2천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다만 전달과 비교하면, 신용대출이 둘다 증가했는데 연말 상여금 등의 계절적 요인이 사라진 효과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금융당국은 종합적으로 “9.13대책, 디에스아르 제도 시범운영 등으로 2금융권 가계대출과 은행권 기타대출 증가 규모가 축소된 영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 규모(+2조5천억원)는 지난해 2월과 동일하고, 전달(+1조1천억원)과 비교하면 1조4천억원 증가했다. 제2금융권은 1조2천억원 감소했는데, 지난해 2월(+8천억원) 대비 2조원 줄어든 셈이다. 전달(-1조5천억원)과 견주면 3천억원 늘었다. 금융위는 “앞으로도 가계대출의 안정적 관리를 통해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을 5%대로 억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