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경기침체와 대출 규제 등이 확대되면서 금융권 자영업자(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이 증가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강화된 대출 규제 영향도 있는만큼 아직 심각한 단계가 아니라며 예의 주시하고 있다.
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금융권 자영업자 평균 연체율은 2017년 말 0.51%에서 2018년 말 0.61%로 올랐다. 업종별로 보면 2금융권 중심으로 더 큰 폭으로 뛰었는데, 상호금융 연체율은 0.74%에서 1.15%, 카드사 등 여신전문금융사 연체율은 2.04%에서 2.66%로 올랐다.
저축은행 건전성 지표도 경고음을 냈다. 저축은행의 평균 고정이하여신비율(3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비율)을 보면, 2017년 말 5.39%에서 2018년 6%로 올랐다. 특히 부산·울산·경남 지역 저축은행 12곳의 평균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017년 말 4.85%에서 2018년 말 6.23%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금융당국은 이같은 연체율 상승이 대출규제 강화와 경기둔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보고 있다. 연체율은 1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채권의 비중을 나타내는데, 대출이 많이 늘어날 때는 분모에 해당하는 대출잔액이 커져 연체율이 내려가고 반대인 상황에서는 연체율이 올라간다. 지난해부터 자영업자 대출 증가세가 가파르다는 지적이 나오자, 이자상환비율(RTI) 규제가 도입되고, 자금의 용도 외 유용을 점검하는 등 대출규제가 강화됐다. 지난 4월엔 자영업자 대출 증가율을 전업권 평균 11%로 묶는다는 총량규제도 설정해, 관리가 한층 더 촘촘해질 전망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조선업 영향을 많이 받는 부산·울산·경남지역과 석유화학 업종 영향을 받는 호남권 등 지방이 수도권보다 경기 부진으로 더 큰 타격을 받는 편”이라면서도 “연체율의 분모가 되는 대출잔액 증가율이 둔화되면서, 예전과 비슷한 규모로 연체 건수가 발생해도 연체율 자체가 올라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저소득·저신용층이 급전을 위해 찾는 카드론 관련 연체율도 오름세에 있다. 최근 신한·삼성·현대·롯데·우리·하나·케이비(KB)국민카드 등 주요 7개 카드사가 발표한 올해 1분기 연체율(대환대출 포함)은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작게는 0.01%포인트에서 크게는 0.35%포인트까지 전부 상승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연체율 증가에 여러 요인이 혼재해있어 정밀한 분석이 필요하다”며 “전반적으로 연체율이 증가한 상황이지만 아직 낮은 수준이어서 좀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