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처음으로 금융권의 직·간접 일자리 창출효과를 측정하기로 했다. 금융권의 일자리 창출 역할을 강화하기에 앞서 우선 현황파악부터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시중·지방은행 14곳을 대상으로 일자리 창출효과 측정에 착수했다고 6일 밝혔다. 케이비(KB)국민, 신한, 우리, 케이이비(KEB)하나, 엔에이치(NH)농협, 수협, 에스시(SC), 씨티은행 등 시중은행 8곳과 대구, 부산, 경남, 광주, 전북, 제주은행 등 지방은행 6곳이 측정 대상이다. 기업·산업은행 등 국책은행은 매해 경영실적평가에서 별도로 일자리 창출 기여도를 평가받기 때문에 제외됐다. 인터넷전문은행도 비대면창구 위주 영업으로 인해 기업대출이 제한된만큼 다른 은행과 동일선상에서 비교하기가 어려운 점을 이유로 이번 평가에서 제외됐다.
금융당국은 개별 금융사의 ‘자체 일자리 기여도’와 ‘간접적 일자리 창출 기여도’를 나눠 따진다. 자체 일자리는 개별 금융사가 직접 고용하거나 아웃소싱으로 창출하는 일자리를 가리킨다. 이때 노동시장에서 취약계층으로 분류되는 청년·여성·비정규직 채용 비율도 함께 따진다.
간접적 일자리 창출 기여도는 은행이 개별 산업에 대출한 규모와 고용유발계수 등을 활용해 따진다. 금융위 관계자는 “은행의 본질이 자금중개인만큼 대출을 통해 산업을 성장시키면서 창출된 일자리 효과를 본다는 측면”이라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이달까지 은행에서 관련 자료를 제출받아 8월중 분석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금융위는 ‘줄세우기’를 통해 채용 압박을 하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 때문에 개별 은행별로는 결과를 발표하지 않는다고 강조했지만, 금융권에서는 여전히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올해 측정에 기반해 내년 이후에는 은행 외 다른 업권까지 측정을 확대하겠다”며 “중·장기적으로는 일자리 창출과 관련한 금융권 역할강화를 위한 정책지원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