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 풀린 일본계 은행의 자금이 지난 5월 기준 25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돼 예년 수준을 되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금융위원회는 금융감독원이 집계한 일본계 은행 국내지점의 총여신(대출)이 5월말 기준 24조7천억원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말 고점(26조원)을 찍은 여신 규모가 올해 3월 21조9천억원까지 줄었다가 다시 본래 궤도에 오른 셈이다.
김정훈 자유한국당 의원이 금감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일본계 여신 규모는 국내에서 영업중인 16개국 은행 38개 지점 총여신(98조원)의 25.2%에 이른다. 국가별로는 중국(33.6%·32조9천억원)에 이어 두번째로 큰 규모다. 일본계 미즈호은행의 여신은 11조7천억원으로, 국내에서 영업 중인 외국계은행 지점 중 가장 많다.
금융당국은 설사 일본이 대출 회수 등 금융 부문에서 보복 조처를 하더라도 현재 충분히 대응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지난 5일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우리 금융회사의 신인도가 높고 금융시장도 안정돼 있기 때문에 일본이 돈을 안 빌려준다고 해도 얼마든지 다른 데서 빌릴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금융위는 이런 판단의 근거가 국내은행의 외화유동성과 한국의 외환보유액 등을 고려한 ‘시장의 일반적 분석’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5월 기준 국내은행의 외화유동성비율(LCR)은 일반은행 110.7%, 특수은행 97.7%로 규제 비율인 80%를 웃돈다. 외화유동성 비율은 향후 30일간 순외화유출 대비 고유동성 외화자산의 비율로, 금융사의 외환건전성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다.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5월 기준 4020억달러로 세계 9위 수준이다. 이는 2008년 9월 금융위기 당시 2397억달러에 견줘 1623억달러 증가한 규모다. 금융위 관계자는 “일본이 할 수 있는 조처가 국내 시장에 ‘전혀 영향이 없다’는 말은 사실이 아니지만, 지나친 과장은 금융시장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관계부처와 함께 현 상황을 엄중히 인식하며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