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한부모·다문화 자녀가 2~3배 높아
청소년 10명 중 1명꼴 ‘중독’…어릴수록 심각
청소년 10명 중 1명꼴 ‘중독’…어릴수록 심각
가난할수록 인터넷 중독률이 높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행정안전부 등 8개 부처는 3일 발표한 ‘2010년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에서 우리나라 9~39살 인구의 인터넷 중독률은 8.0%로, 이 연령대 중독자가 174만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인터넷 중독은 과도한 인터넷 사용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고 금단 현상과 내성까지 갖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번 조사는 최근 1개월 안에 1번 이상 인터넷을 사용한 전국의 9~39살 7600명을 상대로 가구별 면접조사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 인터넷 중독률은 소득 및 나이와 깊은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가구소득이 500만원 이상인 계층은 중독률이 6.6%에 불과했으나 월소득 100만원 미만은 11.1%, 100만~200만원인 경우는 11.9%였다. 특히 상담과 치료가 필요한 고위험 인터넷 중독자의 비율은 500만원 이상 계층이 0.8%인 데 반해 100만원 미만의 경우는 3.7%로 4배 이상이나 됐다.
또한 초등학생 13.7%, 중학생 12.2%, 고등학생 10.0%의 중독률을 보이는 등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률은 12.4%로, 성인의 5.8%에 비해 2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인터넷 중독률은 2009년의 8.5%에서 0.5%포인트 낮아지면서 개선됐지만, 초등학생 중독과 청소년 고위험 중독은 오히려 늘어났다. 또한 한부모 가정의 고위험 중독자 비율은 두 부모 가정보다 2배 이상인 7.3%로 나타났고, 다문화 가정의 중독률은 그렇지 않은 가정보다 3배 이상인 37.6%로 나타났다.
정부는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여성가족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8개 부처가 협의체를 만들고 2012년까지 상담, 치료 인력을 5500명 길러 예방교육과 상담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행안부 관계자는 “전체 중독률이 낮아졌지만 초등학생 중독률이 높아지는 등 앞으로 초등학교 저학년과 취학 전 어린이들로 조사 범위를 넓히고 예방 교육을 확대하는 게 필요하다”며 “한부모, 다문화 가정,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을 위한 방문 상담과 이동 상담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행안부는 지난해 13억5000만원이던 인터넷 중독 대응 예산을 올해는 3배 이상인 46억6000만원으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구본권 기자 starry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