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이용자 많고 홍보 미흡” 승인 유보
케이티가 6월 말 철수를 목표로 밀어붙여온 ‘2세대 이동통신서비스(PCS) 폐지’ 계획이 방송통신위원회에 의해 제동이 걸렸다. 방통위는 24일 케이티가 지난 4월18일 신청한 2세대 통신서비스 폐지에 대해 승인을 유보하기로 했다.
방통위는 “지난달 말 기준 이용자가 여전히 81만명에 이르고, 이용자에게 알린 시점도 지난 3월28일이라 충분하지 않다”고 유보 이유를 밝혔다. 케이티는 다른 이통사와 달리 2세대 가입자 비중이 5% 수준에 불과해, 이를 폐지하면 매년 약 700억원의 망사용료 부담도 사라지고, 1.8기가헤르츠(㎓) 대역을 4세대용 롱텀이볼루션(LTE) 서비스로 활용할 수 있다.
케이티는 지난 3월 말부터 2세대 가입자들에게 “상반기내 2세대 서비스가 폐지된다”며 3세대 전환을 적극 권유해왔다. 101만명이라는 이용자 규모와 3개월이라는 짧은 기간에도 군사작전을 하듯 밀어붙였지만 석달간 전환 건수는 29만여건에 불과했다.
이는 기존의 이동통신 서비스 폐지 과정과 비교해도 무리한 것이었다. 최영진 방통위 통신경쟁정책과장은 “1999년 케이티의 시티폰 폐지신청 당시 이용자가 17만9000명 수준이었고, 에스케이텔레콤의 아날로그서비스 중단신청 때 6만1000명 이용자였던 점에 비해 케이티가 폐지 승인을 신청한 시점의 이용자는 101만명이었다”며 “에스케이텔레콤은 통지 기간도 9개월이었다”고 말했다.
케이티는 2세대 가입자가 3세대로 전환할 경우 단말기를 싸게 공급하고 24개월간 월 6000원씩의 요금 할인을 제공하는 등의 보상책을 내놓았지만, 가입자 호응은 높지 않은 편이다. 특히 타의에 의해 기존 단말기와 서비스를 쓸 수 없게 된다는 데 대해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이석채 케이티 회장은 “(3세대로 바꾸면) 단말기와 네트워크가 좋아지고 번호도 그대로 쓸 수 있다”며 “더 좋은 서비스를 쓰게 되는데 왜 보상을 해야 하느냐”고 보상 요구를 일축했다.
하지만 2세대 폐지로 이용자들이 입는 보이지 않는 피해가 적지 않다. 2005년부터 케이티 2세대 가입자로 가족간 무료통화를 제공하는 ‘굿타임패밀리’ 요금제를 사용해온 직장인 이창희(33)씨는 “케이티에 문의결과 3세대 서비스로 바꾸면 2세대용인 굿타임패밀리 요금제는 자동해지된다고 안내했다”며 “케이티가 소비자 이익 감소에 대해 제대로 알려주지 않은 채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본권 기자 starry9@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뉴요커 ‘8분의 1’ 아시안, 로비 파워 커진다
■ 무료 게임인줄 알았는데… 휴대폰 수십만원 ‘요금폭탄’
■ 서울대 법인화 충돌 ‘어정쩡한 봉합’
■ 애플, 한국서도 ‘삼성 특허침해’ 소송
■ ‘소셜네트워크’ 주역들 “굿바이! 페이스북”
■ 권할땐 언제고…‘매 맞는’ 임금피크제
■ 유성현장서 도망친 19살 용역 “너무 무서웠다”
■ 무료 게임인줄 알았는데… 휴대폰 수십만원 ‘요금폭탄’
■ 서울대 법인화 충돌 ‘어정쩡한 봉합’
■ 애플, 한국서도 ‘삼성 특허침해’ 소송
■ ‘소셜네트워크’ 주역들 “굿바이! 페이스북”
■ 권할땐 언제고…‘매 맞는’ 임금피크제
■ 유성현장서 도망친 19살 용역 “너무 무서웠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