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잡스’ 스마트폰 시장
애플
아이폰4s 판매량에 사활
3Gs ‘공짜폰’ 풀어 미끼로 삼성-구글 운영체제점유율 ‘애플 2배’
‘넥서스 프라임’ 공개 연기 스티브 잡스가 없는 세계 스마트폰 시장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 잡스는 스마트폰과 태블릿피시(PC) 시장을 만들어냈고 스마트 기기 생태계의 뼈대도 세운 인물이다. 무대의 주연이자 연출자였던 셈이다. 잡스의 유산을 승계한 애플과 그 경쟁자들 사이의 스마트폰 진검승부의 열기는 당장 4분기부터 한층 달아오를 전망이다. ■ “아이폰4S, 가장 빠른 판매실적 보여” 잡스가 세상에 남긴 ‘유작’이 된 아이폰4에스(S)는 잡스가 떠난 이후 애플의 미래를 당장 가늠해볼 수 있는 시금석이다. 잡스 사망 직후 아이폰4에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지난 4일(현지시각) 아이폰4에스가 출시됐을 때 “실망스럽다”는 반응이 지배적이었던 것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경제지 <월스트리트저널>는 지난 8일치에서 미국 통신회사 에이티앤티(AT&T) 관계자의 말을 따 “7일 예약판매를 시작한 아이폰4에스에 12시간 동안 20만건 넘는 주문이 쏟아졌다”며 “이제껏 출시한 아이폰 가운데 가장 빠른 판매실적을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올해부터는 버라이즌과 스프린트도 미국 내 아이폰 판매에 나서는 것을 감안하면, 아이폰4에스가 기존 판매 기록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애플 역시 아이폰 고객 붙들기에 힘을 쏟고 있다. 애플은 아이폰4에스 출시를 계기로 아이폰3지에스(Gs)를 단종하는 대신, 2년 약정시 ‘공짜폰’으로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사용자들을 애플 생태계에 계속 붙들어두기 위한 전략이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4일(현지시각) “애플 앱스토어에는 50만개의 판매용 앱이 등록돼 있고, 180억번의 다운로드가 일어났다”며, 애플 생태계의 차별성을 내비쳤다. 경쟁자인 안드로이드 진영의 운영체제 점유율이 높아도 애플 생태계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일체화된 경험을 통해 고객의 충성도를 강화한다는 전략을 밝힌 셈이다. ■ 삼성-구글 일단 ‘숨고르기’ 나서 이에 뒤질세라 경쟁 진영의 기세 또한 만만찮다. 선두주자는 안드로이드 군단의 대표주자격인 삼성전자다. 지난 7일 올해 3분기 실적 잠정집계를 공개한 삼성전자는 3분기 스마트폰 판매량에서 애플을 처음으로 앞선 것으로 분석됐다. 3분기 중 애플이 아이폰 2200만대를 판매하는 데 그친 반면, 갤럭시에스(S)2를 앞세운 삼성전자 판매량은 약 2500만대에 이르렀다. 운영체제 시장에서도 안드로이드 진영의 위세는 거침없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 발표에 따르면 올 2분기 스마트폰 운영체제 점유율에서 구글 안드로이드의 비중(48%)은 애플(18%)에 견줘 2배 이상 앞섰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7일 보고서를 통해 “삼성은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차별성을 강화하고 운영체제 다변화 전략으로 시간을 벌면서 아이폰과의 싸움에 나설 계기를 마련했다”며 “프랑스와 이탈리아에 낸 판매금지 가처분신청이 받아들여질 경우의 긍정적 효과도 애플에 대한 부품 공급 중단에서 오는 부정적 영향을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런 가운데 삼성전와 구글은 애초 오는 11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기로 했던 삼성전자 ‘넥서스 프라임’ 공개행사를 연기하기로 했다. 넥서스 프라임은 안드로이드 최신 버전인 ‘아이스크림 샌드위치’를 탑재한 스마트폰이다. 잡스 추모 열기가 뜨거운 마당에, 애플을 상대로 한 안드로이드 진영의 ‘협공’도 잠시 숨고르기에 들어가는 분위기다. 구본권 기자 starry9@hani.co.kr
3Gs ‘공짜폰’ 풀어 미끼로 삼성-구글 운영체제점유율 ‘애플 2배’
‘넥서스 프라임’ 공개 연기 스티브 잡스가 없는 세계 스마트폰 시장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 잡스는 스마트폰과 태블릿피시(PC) 시장을 만들어냈고 스마트 기기 생태계의 뼈대도 세운 인물이다. 무대의 주연이자 연출자였던 셈이다. 잡스의 유산을 승계한 애플과 그 경쟁자들 사이의 스마트폰 진검승부의 열기는 당장 4분기부터 한층 달아오를 전망이다. ■ “아이폰4S, 가장 빠른 판매실적 보여” 잡스가 세상에 남긴 ‘유작’이 된 아이폰4에스(S)는 잡스가 떠난 이후 애플의 미래를 당장 가늠해볼 수 있는 시금석이다. 잡스 사망 직후 아이폰4에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지난 4일(현지시각) 아이폰4에스가 출시됐을 때 “실망스럽다”는 반응이 지배적이었던 것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경제지 <월스트리트저널>는 지난 8일치에서 미국 통신회사 에이티앤티(AT&T) 관계자의 말을 따 “7일 예약판매를 시작한 아이폰4에스에 12시간 동안 20만건 넘는 주문이 쏟아졌다”며 “이제껏 출시한 아이폰 가운데 가장 빠른 판매실적을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올해부터는 버라이즌과 스프린트도 미국 내 아이폰 판매에 나서는 것을 감안하면, 아이폰4에스가 기존 판매 기록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애플 역시 아이폰 고객 붙들기에 힘을 쏟고 있다. 애플은 아이폰4에스 출시를 계기로 아이폰3지에스(Gs)를 단종하는 대신, 2년 약정시 ‘공짜폰’으로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사용자들을 애플 생태계에 계속 붙들어두기 위한 전략이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4일(현지시각) “애플 앱스토어에는 50만개의 판매용 앱이 등록돼 있고, 180억번의 다운로드가 일어났다”며, 애플 생태계의 차별성을 내비쳤다. 경쟁자인 안드로이드 진영의 운영체제 점유율이 높아도 애플 생태계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일체화된 경험을 통해 고객의 충성도를 강화한다는 전략을 밝힌 셈이다. ■ 삼성-구글 일단 ‘숨고르기’ 나서 이에 뒤질세라 경쟁 진영의 기세 또한 만만찮다. 선두주자는 안드로이드 군단의 대표주자격인 삼성전자다. 지난 7일 올해 3분기 실적 잠정집계를 공개한 삼성전자는 3분기 스마트폰 판매량에서 애플을 처음으로 앞선 것으로 분석됐다. 3분기 중 애플이 아이폰 2200만대를 판매하는 데 그친 반면, 갤럭시에스(S)2를 앞세운 삼성전자 판매량은 약 2500만대에 이르렀다. 운영체제 시장에서도 안드로이드 진영의 위세는 거침없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 발표에 따르면 올 2분기 스마트폰 운영체제 점유율에서 구글 안드로이드의 비중(48%)은 애플(18%)에 견줘 2배 이상 앞섰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7일 보고서를 통해 “삼성은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차별성을 강화하고 운영체제 다변화 전략으로 시간을 벌면서 아이폰과의 싸움에 나설 계기를 마련했다”며 “프랑스와 이탈리아에 낸 판매금지 가처분신청이 받아들여질 경우의 긍정적 효과도 애플에 대한 부품 공급 중단에서 오는 부정적 영향을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런 가운데 삼성전와 구글은 애초 오는 11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기로 했던 삼성전자 ‘넥서스 프라임’ 공개행사를 연기하기로 했다. 넥서스 프라임은 안드로이드 최신 버전인 ‘아이스크림 샌드위치’를 탑재한 스마트폰이다. 잡스 추모 열기가 뜨거운 마당에, 애플을 상대로 한 안드로이드 진영의 ‘협공’도 잠시 숨고르기에 들어가는 분위기다. 구본권 기자 starry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