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대 사이트 실태조사
공공기관으로 확대키로
공공기관으로 확대키로
정부가 국내 인터넷 환경 왜곡의 대명사가 된 ‘액티브엑스(X)’ 추방에 적극 나섰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인터넷 이용 편의와 웹서비스 경쟁력 강화를 위해 100개 주요 사이트의 액티브엑스 사용실태를 조사해 발표하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오는 3월 첫 발표를 시작으로 분기별로 조사해 발표하며, 조사대상도 100곳에서 공공기관 전체 사이트(285개)로 차츰 확대할 계획이다. 보안이 취약하고 비표준적인 액티브엑스를 쓰는 사이트를 ‘망신’ 주는 방법으로 퇴출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액티브엑스는 파일 불러오기나 음악 재생, 동영상 보기 등에 사용되는 기술로,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인터넷익스플로러에서만 돌아간다. 액티브엑스는 개발이 용이해 국내 대부분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널리 쓰여왔으나, 표준을 따르지 않아 다른 웹브라우저에서는 구현되지 못하며 보안이 취약해 디도스 공격에 쓰여왔다.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에서는 전혀 돌아가지 않는다.
방통위는 웹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이달 안에 ‘차세대 웹표준기술(HTML5) 활성화 전략위원회’를 만들어 운영하기로 했다. 또한 포털·게임사들과 공동캠페인을 벌여 보안이 취약한 인터넷 익스플로러6의 사용률을 연내에 5% 아래로 낮추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그러나 방통위가 액티브엑스 사용 사이트를 공개해 퇴출시키겠다는 방침에도 불구하고 주요 공공 사이트들은 액티브엑스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을 개선하지 않아, 민간업체들을 상대로 한 캠페인의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성적·학교생활기록부 등을 확인하기 위해 초·중·고 학생을 비롯해 학부모 등 국민 대다수가 필수적으로 이용해야 하는 교육행정정보시스템(네이스)만 해도, 익스플로러와 액티브엑스 없이는 이용 자체가 불가능하다. 구본권 기자 starry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