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일어난 직장 내 변화는 근무형태 변화와 임금 삭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명함관리 서비스 ‘리멤버’를 운영하는 드라마앤컴퍼니가 직장인 소통 앱 ‘리멤버 커뮤니티’ 이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직장 내 코로나19 영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코로나19 이후 변화로 재택근무나 유연근무 등 근무 형태의 변화를 꼽은 이들은 52.5%였고, 임금 삭감, 성과금 축소 또는 미지급(14,7%), 조직원들의 불만으로 인한 사내 불화(9.2%), 구조조정 및 조직개편(8.8%) 순이었다. 아무 변화가 없다고 답한 이들도 28.4%였다.
임금삭감과 구조조정을 변화로 꼽은 이들은 서비스직과 마케팅, 홍보 직군이 많았다. 구조조정과 조직개편이 일어나고 있다고 답한 직군의 비율은 서비스직(25%), 마케팅/홍보(14.5%), 경영관리(11.6%) 순서로 높았고, 임금이나 성과급이 축소됐거나 미지급됐다고 답한 이들은 문화/예술(50%), 서비스직(41.7%), 마케팅/홍보(22.4%) 직군 순이었다.
코로나19로 인해 생긴 업무상 어려움으로는 외부 활동 위축에 따른 영업 실적 감소(54%), 기존 계획을 수정해야 해 생기는 혼란(53%), 의사소통이 어려워져 비효율 늘어남(26%) 등이 꼽혔다. 영업실적 감소는 영업·건설·금융직군에서, 기존 계획 수정은 마케팅·홍보·아이티·유통·무역 직군에서 주로 답했다.
최민영 기자
mym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