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IT

존리가 말한 부자되는 비법 2가지는?

등록 2020-06-02 15:04수정 2020-06-02 16:19

유튜브 크리에이터와의 대화
‘존리 라이프스타일주식’ 존리 메리츠자산운용 대표
‘김짠부 재테크’ 27세 김지은씨
‘신사임당’ 주언규 전 한국경제TV PD
존리 대표 “금융 공부와 긍정적인 마인드가 중요”
존리 메리츠자산운용 대표. 유튜브 제공
존리 메리츠자산운용 대표. 유튜브 제공

코로나19 팬데믹 이후로 세계경제가 크게 출렁이고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미래를 대비하는 차원에서 재테크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크게 높아졌다. 이에 유튜브가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경제 분야 유튜버 3명과 함께 ‘크리에이터와의 대화’ 행사를 2일 열었다. ‘존리라이프스타일주식’의 존리 메리츠자산운용 대표, ‘김짠부 재테크’ 김지은씨, ‘신사임당’ 주언규 전 한국경제티브이(TV) 피디(PD)가 주인공이다. 이들은 왜 경제 유튜브를 시작했는지 경험을 나누고, 자신들이 만드는 콘텐츠를 바탕으로 경제와 재테크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했다.

■ 존리 메리츠자산운용 대표

미국 월스트리트에서 펀드매니저로 활약했던 존리 메리츠자산운용 대표는 한국인들이 ‘금융문맹’을 벗어날 수 있게 돕고자 유튜브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미국에서 35년 동안 살고 보니, 한국은 여러 면에서 선진국이지만 금융에 있어서는 놀랄만큼 후진국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빈부격차, 부실한 노후대비 같은 문제가 금융 문맹에서 비롯됐다는 생각이 들었죠. 유튜브를 통해서 많은 이들이 금융 문맹에서 벗어나 경제 독립을 이루고, 한국의 금융 경쟁력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아서 시작했습니다.” 그는 “금융 교육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며 “개인이 어떤 삶을 살게 될지와 관련해 금융 지식은 아주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고 강조했다.

‘존리 라이프스타일 주식’이라는 채널 이름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 존리 대표는 이날 행사에서도 금융 중에서도 주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국은 주식이라는 투자 수단에 대해 잘못된 편견이 많습니다. ‘주식투자는 하면 안된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죠. 하지만 금융과 주식을 알아야 자신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 단기적으로 주식을 사고 파는 걸 주식투자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고 용어도 잘못 아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주식 투자는 철학을 가지고 평생 해야 하는 것이고, 장기적으로 노후를 대비하는 방법입니다. 이런 취지에서 사람들의 편견을 깨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김짠부 재테크’ 채널을 운영하는 김지은씨. 유튜브 제공
‘김짠부 재테크’ 채널을 운영하는 김지은씨. 유튜브 제공

■ ‘김짠부 재테크’ 김지은씨

‘김짠부 재테크’ 채널을 운영하는 27살 김지은씨는 “외롭지 않게 돈을 모으고 싶어서 ‘20대 짠순이 부자되기’라는 주제로 유튜브를 시작했다”고 했다. 이 채널에서 김씨는 “커피를 2번 참고 1만원을 아끼면 웬만한 예적금 상품을 드는 것보다 이득”이라는 식으로, 돈을 아끼는데 도움이 되는 팁들을 공유한다. “저도 2년 전만 해도 옷과 화장품에 수백만원을 쓰고 할부로 쇼핑을 하는 등 버는 것보다 더 많이 썼어요. 그런데 이상하게 돈을 쓰면 쓸수록 마음이 채워지지 않고 공허해지더라고요. 어느 날 ‘이렇게 쓰기만 하다가는 나중에 내 집 하나 마련할 수 없겠다’는 생각이 들어 ‘짠테크’를 시작했죠.”

그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면서 위로와 응원을 받을 수 있었다고 했다. “욜로, 소확행 트렌드가 유행하다보니 주변 친구들도 다들 재태크에 관심이 없었어요. 혼자서 돈을 모으는데 외로웠습니다. ‘짠돌이 부자되기’ 카페에 기웃거리기도 했는데 거기도 제 또래는 없었습니다. 내가 먼저 나서보자는 생각으로 ‘나 26살인데 절약하며 산다! 나같은 사람 있으면 응답해줘’라며 채널을 시작했어요. 댓글창에 ‘맞는말 대잔치’라며 공감해주는 사람도 많았고, 제 영상을 보고 20대 간호사가 6개월 만에 1500만원을 모아 학자금을 갚았다거나 10만원 용돈을 모두 쓰던 고등학생이 2∼3만원씩 저축을 시작했다며 고맙다고 할 때 참 좋았습니다.”

‘신사임당’ 채널을 운영하는 주언규 전 한국경제티브이(TV) 피디(PD)
‘신사임당’ 채널을 운영하는 주언규 전 한국경제티브이(TV) 피디(PD)

■ ‘신사임당’ 주언규 전 한국경제TV PD

한국경제티브이(TV) 피디(PD) 출신인 주언규씨는 ‘신사임당’이라는 채널을 운영할 때도 ‘피디 마인드’가 발동된다. “한국경제티브이를 퇴사하고 사업을 했다 망했습니다. 피디 경력을 살려 재취업을 하려고 했는데 경력 단절이 안 되도록 방송을 계속 만들었단 흔적을 남기기 위해 채널을 시작했습니다. 영상을 만들때는 ‘지속 가능한’ 주제를 잡고자 노력합니다. 코로나19 이슈를 다룰 때는 단순히 현재 상황만 이야기 하는 게 아니라 ‘경기 침체’로 확장하는 등 시간이 지나더라도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주제와 연결하죠. 사업을 하면서 직접 부딪혀서 배운 노하우들도 아낌없이 공유합니다. 시청률만 잘 나오면 뭐든 할 생각이었기 때문에 노하우를 나누자는 결정을 하는 게 어렵지 않았습니다.”

이들은 소소한 ‘재테크 꿀팁’도 공유했다. 주씨는 사회 초년생들은 재테크에 관심을 키운 나머지 본업에 불성실하게 되기 보단, 회사 생활에 집중하고 공부 없이 바로 시작할 수 있는 재테크인 저축을 열심히 하라고 조언했다. 존리 대표는 주식과 더불어 월급의 10%는 연금 저축을 붓고, 자신의 퇴직연금 운영 방식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짚었다.

존리 대표는 금융 지식을 쌓는 것과 더불어 긍정적인 생각을 많이 하라는 주문도 했다. “나는 부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그렇게 라이프스타일을 바꿔보세요. 나도 노후 준비를 잘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생각이 필요합니다. 또 주식을 사고 파는 테크닉 보다는 철학이 더 중요합니다. 외국에 있으면서 많은 부자들한테 물어봤습니다. 당신은 왜 부자가 됐다고 생각하냐고. 부자들의 공통점은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졌고, 호기심이 있고, 도덕성이 높았습니다. 중요한 메시지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점에서 저는 재테크라는 용어에 부정적입니다. 테크닉이 아니고 라이프스타일이자 습관, 철학이기 때문입니다. 긍정적인 태도가 제일 중요합니다.”

최민영 기자 mym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1.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2.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3.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4.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5.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