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과 엘에스(LS)일렉트릭, 에스케이(SK)가스, 두산퓨얼셀, 태광산업, 현대자동차 대표들이 3일 비대면 방식으로 연료전지 시범사업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왼쪽부터 김세훈 현대자동차 연료전지사업부장, 유수경 두산퓨얼셀 대표, 박용상 엘에스일렉트릭 대표, 정재훈 한수원 대표, 윤병석 에스케이가스 대표, 정찬식 태광산업 대표. 한수원 제공
한국수력원자력이 엘에스(LS)일렉트릭, 에스케이(SK)가스, 두산퓨얼셀, 태광산업, 현대자동차와 함께 부생수소를 활용한 부하 대응 연료전지 시범 사업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한수원은 이날 엘에스일렉트릭 등과 비대면으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앞으로 울산미포산단에서 발생하는 부생수소를 활용하는 연료전지 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기로 했다. 부생수소는 석유화학 공정이나 철강 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나오는 수소를 말한다.
발전소 일부는 가상발전소(VPP) 플랫폼과 연계해 계통한계가격(SMP), 연료비 등에 따라 발전량을 조절하는 부하대응 방식을 시범 운영하게 된다고 한수원은 설명했다. 가상발전소 플랫폼은 연료전지, 태양광, 풍력 등 다양한 유형의 분산형 에너지 자원을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통합 운영하는 플랫폼을 일컫는다.
이번 사업에서 한수원은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구입과 부하 대응을 위한 가상발전소 실증 등을 담당하며, 엘에스일렉트릭, 에스케이가스, 두산퓨얼셀, 태광산업, 현대자동차는 설계·조달·시공(EPC) 및 장기유지보수계약(LTSA) 수행, 부생수소 공급 등을 맡을 예정이다. 이들 기업은 앞으로 유사한 사업모델을 적용하는 신규 사업 추진에도 협력하기로 했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