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개혁연대가 효성이 횡령·배임 혐의로 재판 중인 이상운 부회장을 새 사내이사 후보로 제안한 것에 대해 “자본시장의 원칙을 부정하고 있다”며 강하게 비판에 나섰다. 효성의 새 사외이사·감사위원 후보에 대해서는 “독립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경제개혁연대는 3일 성명을 내고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 및 배임으로 재판을 받고 있는 이상운 부회장을 사내이사로 선임한 것은 앞서 증권선물위원회(증선위)가 분식회계를 이유로 이 부회장에게 내린 해임권고를 증선위의 해임권고를 속이는 행위다”라고 주장했다. 효성은 1일 오후 “9월22일 오전 10시 서울 공덕동 효성 본사에서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새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 후보 3명과 사내이사 후보의 선임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이날 오전 경제개혁연대가 “한국거래소에 공문을 보내 최근 효성이 분식회계 이후 내부적으로 한 조처와 감사위원 선임을 이유로 주주총회를 미루고 있는 상황 등이 투자 위험이 있는 상장사에 매기는 ‘관리종목’으로 편입되는 요건을 충족하는지에 대해 질의했다”는 사실을 밝힌 뒤 이뤄진 공시였다.
경제개혁연대는 효성이 분식회계의 책임이 무거운 이 부회장을 사내이사로 선임한 것 자체가 감독당국의 눈을 속이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경제개혁연대는 “증선위가 적발한 두 차례의 분식회계의 대부분 기간(2005년~2016년 3분기)이 이 부회장의 대표이사 재직시기다”라며 “이 부회장은 증선위로부터 분식회계로 임원해임권고를 받았는데도 사임하지 않고 2년 반 가까이 임원직을 유지해오다가 올해 4월4일 대표이사에서 그만 둔 뒤 5개월 만에 다시 사내이사로 선임되는 것이다”라고 밝혔다.
효성이 제안한 3명의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 후보 가운데 김명자 전 환경부 장관, 권오곤 전 헌법재판소 자문위원에 대해 경제개혁연대는 “최소한의 외관상 독립성도 갖추지 못한 후보자”라고 평가했다. 경제개혁연대 설명을 들어보면, 김 후보는 조석래 효성 전 회장의 부인인 송광자 부사장의 경기여고 동문이며 권 후보는 조 전 회장과 이 부회장, 최중경 사외이사와 경기고 동문이다. 송 부사장은 재벌 총수 부인 가운데 이례적으로 1998년부터 현재까지 효성 비서실에서 상근직으로 근무 중이라고 공시돼 있다. 경제개혁연대는 학연으로 가까운 후보들을 언급하며 “업무수행을 독립적으로 감시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라고 지적했다. 효성은 증선위로부터 분식회계 등으로 과징금과 함께 2년 동안 감사인을 지정하도록 하는 조처를 받았다. 이에 지난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김상희, 한민구, 이병주 등 기존 감사위원을 재선임하려고 했지만, 주주들의 반대로 무산된 바 있다.
경제개혁연대는 효성의 사례를 언급하며 “분식회계와 횡령, 배임 등으로 유죄를 받은 임원들은 다시 임원으로 선임될 수 없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경제개혁연대는 “불특정 다수에게서 자금을 조달하는 상장기업은 엄격한 법적 책임과 도덕적인 기준이 필요한데 효성은 주주와 시장은 안중에도 없는 안하무인격의 경영을 하고 있다”며
“지금이라도 효성 이사회는 시장이 수긍할 수 있는 수준의 인물을 찾아 새로운 이사 및 감사위원 후보를 제안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성환 기자
hwan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