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가 수소전기차 핵심부품 생산 전담공장을 신축하겠다고 밝힌 충북 충주의 친환경차 부품전용 생산단지 전경. 현대모비스 제공
현대모비스는 9일 수소전기차 핵심부품 생산 전담공장을 충북 충주에 있는 친환경차 부품 전용 생산단지 안에 신축하고 다음달부터 시험 가동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현대자동차 그룹 차원에서 진행하는 수소전기차 주도권 확보 전략의 하나다.
현대모비스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어 11만㎡ 규모의 충주 생산단지 안에 700여억원을 투자한 1만3000㎡ 규모의 수소전기차 핵심부품 공장을 만들 예정이라고 밝혔다. 신공장에는 수소전기차 각종 핵심부품이 결합된 파워트레인 연료전지 통합모듈(PFC·Powertrain Fuelcell complete)을 연간 3000대 생산할 수 있는 첨단 생산설비가 갖춰진다.
현대자동차 그룹은 “이 시설은 향후 수소전기차 시장 수요에 따라 수만대 규모 생산이 가능토록 확장할 수 있게끔 설게됐다”며 “수소전기차 기술 자립과 가격 경쟁력 강화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앞서 현대모비스는 지난 2013년 친환경차 공용부품을 생산하는 1공장(5만2000㎡)을 충주 단지 안에 지어 운영해오고 있다.
충주 신공장에서 생산될 연료전지 통합모듈은 연료전지 스택, 구동모터, 전력전자부품, 수소연료, 공급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연료전지 스택은 저장된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를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차량의 동력원인 전기를 발전시키는 핵심장치다. 일반 내연기관 차로 치면 차량 엔진 역할을 한다.
연료전지 스택은 얇은 필름 형태의 막전극적합체(MEA·Membrane Electrode Assembly)가 주요 구성품이다. 주요 기술이 집약된 핵심부품인 막전극적합체 440개로 연료전지 스택 한 개가 만들어진다. 현대자동차 그룹은 지금까지 수입에 의존하던 이 핵심부품들을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전체 무게를 10% 가까이 줄였고 전체 출력 성능도 15%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현대모비스는 신공장에서 막전극적합체와 연료전지 스택을 양산함은 물론, 이 제품의 최종 결합체인 연료전지 통합모듈도 제작 완료해 완성차 생산라인으로 보낸다고 밝혔다. 기존 1공장에서는 친환경차 공용부품인 구동모터와 전략전자부품 등을 생산해 신공장으로 공급한다고 밝혔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