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의 양방향 충전기(OBC) 등을 활용한 브이투지(V2G)개념도. 전기차의 유휴 에너지를 전력망(그리드·Grid)에 공급하면서 피크 타임 시 여유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현대모비스 제공
현대모비스는 16일 브이투지(Vehicle To Grid) 구현을 위한 핵심 부품인 ‘전기차 탑재형 양방향 충전기(OBC)’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브이투지는 전기차나 하이브리드 차량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전력망에 공급하는 기술이다. 주행 후 남은 전기를 주차 중 전력망으로 보내 작게는 가정이나 마을에서 비상전력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전기차를 움직이는 에너지저장장치(ESS)로 만들어주는 장치인 셈이다.
현대모비스는 쪽은 “미래 스마트시티에서는 수많은 전기차가 동시 충전을 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생기는 전력 부하량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브이투지는 필수적이다”며 양방향 충전기를 탑재한 “전기차 4대면 20가구가 하루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업계는 브이투지 적용 차량이 약 10만대 보급되면 화력발전소 1기 발전용량에 준하는 500MW 수준의 전력을 확보해줄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며 “충분한 대수가 보급되면 대규모 정전사태 등을 방지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브이투지를 구현하려면 △충전식 친환경차 △양방향 충전 △양방향 충전소 △방전 요금체계 등이 필요하다. 이 중 전력 변환의 핵심인 ‘양방향 충전기’는 시범사업 외에는 양산 사례가 거의 없어 전 세계적으로 본격적인 보급은 안 된 차세대 부품이라고 현대모비스 쪽은 설명했다.
현대모비스는 한국전력공사가 2015년부터 추진한 ‘브이투지 실증사업’에 참여해 양방향 충전기 개발을 담당했다. 현대모비스의 ‘양방향 충전기’에는 직류·교류를 양방향으로 변환하고 전압과 전력주파수 등을 전력망과 동기화하기 위해 교류(AC)↔직류(DC) 컨버터와 승압·강압 컨버터 등 ‘양방향 전력제어 회로’가 적용됐다. 현대모비스는 가상 전력 시나리오에 따른 실제 차 검증을 올 초에 시작해 지난달 말 완료했고, 한전의 실시간 전력데이터와 연동한 실제 차 검증을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대모비스는 이번에 개발한 ‘양방향 충전기’는 기존 아이오닉 친환경차의 단방향 충전기와 같은 크기이면서도 에너지 효율은 높였다는 점도 강조했다. 충·반전 출력 모두 전기차에 적합한 6.6㎾급을 구현했다. 현대모비스는 이번 개발 성과를 통해 2025년까지 30조원(267억달러) 규모 성장이 기대되는 브이투엑스 (V2X·Vehicle To Everything, 브이투지 포함) 시장에 한층 더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고 자평했다. 안병기 현대모비스 친환경설계실장은 “브이투지는 2020년께 국내에서도 상용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양방향 충전기의 크기를 절반으로 줄이고 에너지 손실률도 한층 더 낮추겠다”고 밝혔다.
현대모비스는 앞서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량용 단방향 충전기를 개발해 지난해부터 아이오닉과 니로 등 차종에 공급하고 있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