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 삼성전자는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유지하되, 애플과 중국 후발업체들의 공세로 점유율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삼성전자가 시장점유율 20%대를 지키지 힘들 것이란 전망까지 나왔다.
14일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올해 삼성전자의 전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3억1980만대로 20.5%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내년에는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출하량이 3억1530만대로 떨어지고, 점유율도 19.2%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에스에이는 “프리미엄 제품군에서는 애플, 중저가 제품군에서는 중국업체들의 공세가 거세질 것”이라며 이렇게 예상했다.
삼성전자의 연간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년 대비 줄어든 것은 갤럭시노트7 사태가 있었던 2016년(3억940만대·20.8%)을 빼고는 없었다.
삼성전자를 제외한 2~5위 업체는 내년에 출하량이 늘어나면서 점유율이 올해 수준으로 유지되거나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출하량이 2억1540만대로 점유율이 14.5%였던 애플의 올해 출하량은 2억1810만대(14.0%), 내년에는 2억3400만대(14.3%)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3위 업체인 화웨이의 출하량 예상치는 올해 1억5600만대, 내년에는 1억6450만대다. 화웨이의 점유율이 2015년 7%대에서 지난해 9.3%로 높아진 데 이어 올해와 내년에는 10%를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오포는 올해 1억2190만대에서 내년 1억2750만대로, 샤오미는 9570만대에서 1억2010만대로 각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두 업체의 점유율도 각각 7%대로 높아지는 셈이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는 “애플과 중국업체들의 공세가 심해질 것이라는 것 외에 다른 근거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올해 전망치도 정확하지는 않다”며 일축했다.
김재섭 기자
jskim@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