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1월 22일 역삼동 기술센터에서 산업부, 외교부, 수입규제대책반, 삼성전자, LG전자를 비롯한 통상 전문가와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미국 세탁기 세이프가드 관련 민관합동 대책회의가 열리고 있다. 산업부 제공
정부와 삼성·엘지(LG)전자 등 전자업계가 3일(현지시각) 미국 무역대표부(USTR)에서 열린 세탁기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공청회에 참석해 한목소리로 “과도하고 부당한 규제”라는 뜻을 밝혔다. 앞서 정부는 세이프가드가 이뤄질 경우 세계무역기구(WTO) 제소를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등은 공청회에서 “미국이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세계무역기구 협정에 위반되는 세이프가드 조처를 할 경우 전 세계적인 수입규제 조치 남용”이라며 “이는 미국의 수출 이익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 일부 위원이 지난해 11월21일 권고한 ‘쿼터 내 물량에 대한 관세 부과’는 세계무역기구(WTO) 세이프가드 협정 5.1조의 수준을 넘어선 규제라고 지적했다.
공청회에 참석한 핸리 맥마스터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 킴 맥밀란 테네시 클락스빌 시장 등 미국 쪽 인사들도 반대 입장이었다. 이들 지역에는 삼성전자(사우스캐롤라이나주)와 엘지전자(테네시주)가 세탁기 공장을 건설 중이다.
반면, 미국 세탁기 업체인 월풀과 지이(GE) 등은 ‘고율(50%)의 관세를 부과하는 강력한 수입제한이 필요하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이들은 한국을 비롯한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이 세이프가드의 큰 빈틈이 될 수 있다며 협정 체결국도 세이프가드 대상에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 무역대표부는 이날 공청회 결과를 바탕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구체적인 세이프가드 조치를 권고하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2월 중 최종 조처를 결정할 예정이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