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해관리공단 노동조합은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석탄회관을 찾아 정부의 광물자원공사와 통합방안에 대해 반대 시위를 벌였다. 광해관리공단 노동조합 제공
이명박 정부 시절 해외 자원개발에 나섰다가 5조2천억원의 부채를 떠안고 자본잠식 된 광물자원공사가 광해관리공단과 연내 통합될 것으로 알려지자, 광해관리공단 노동조합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5일 광해관리공단 노조는 ‘해외자원개발 부실을 떠넘기는 공공기관 졸속 통합 추진을 강력히 반대한다’는 성명을 냈다. 또 통합 방안을 최종적으로 채택할지를 논의하기 위해 열린 산업통상자원부 ’해외자원개발 혁신 티에프TF)’ 회의 장소를 찾아 ‘통합 반대’ 시위를 벌였다.
공단 노조는 성명에서 “광물자원공사에 대한 근본적인 부채 해결방안 없이 동반부실을 초래하는 기관 통합안에 절대 반대한다”며 “산업부는 이전 정권 적폐의 산물인 부실 해외 자원개발의 책임을 광해관리공단에 떠넘기지 말고 책임자 처벌과 국민 상식에 맞는 광물자원공사 구조조정 방안을 마련해 시행하기를 요청한다“고 밝혔다.
또 “광해관리공단은 광산 개발로 인한 환경피해 복원과 폐광 지역 진흥이라는 공익 목적으로 설립된 폐광지역의 유일한 희망으로, 지난 2006년 설립 뒤 견실한 재무구조를 유지해 왔다”며 “이번 졸속 통합 권고안이 시행된다면 광물자원공사의 부실을 광해관리공단의 떠넘김으로써 공단 설립 목적 및 공익적 기능을 심각하게 훼손할 것이 자명하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통합 뒤 부채관리에 광해관리공단의 자체 재원(강원랜드 배당금)이 투입될 경우 강원랜드 설립취지를 반영한 배당금 사용 목적에서 크게 벗어나 폐광지역 사회의 심각한 반발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도 했다. 광해관리공단은 강원랜드 대주주로, 강원랜드로부터 매년 수백억원의 배당을 받고 있다. 강원도 원주가 근무처인 노조 조합원 약 70명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석탄회관을 찾아 통합 반대 시위도 벌였다.
한편 같은날 광물자원공사 노조도 성명을 내어 “일부 무리한 투자로 국민들에게 우려를 끼치게 된 점에 대해 송구스럽다”며 “그러나 오직 공사와 공사 직원들만의 책임이라는 비판은 경계한다. MB(이명박) 정부와 정권 수뇌부, 당시 산업부장관을 포함한 정부당국자 그리고 과도한 투자를 결정한 전임 경영진의 책임을 반드시 밝혀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한겨레>는 티에프가 이날 중 광물자원공사-광해관리공단과 통합과 광물자원공사의 해외자산 단계적 매각을 정부에 권고하고, 이에 따라 정부가 연내 두 기관 통합을 추진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산업부는 “광물공사 처리 방향은 구체적으로 정해진 바가 없으며 이날 티에프 전체회의에서 논의될 예정“이라고 해명했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