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이 건조한 LNG 운반선. 현대중공업 제공
올해부터 2031년까지 천연가스 수요 전망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도입전략, 공급설비 계획 등을 담은 13차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이 확정됐다. 정부의 탈석탄·탈원전 에너지 전환 정책을 뒷받침하는 8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액화천연가스(LNG) 발전량이 늘어날 것인 만큼, 필요 물량을 선제적으로 획득하겠다고 밝혔다.
5일 산업부는 도시가스사업법에 따라 2년 단위로 수립하는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을 발표했다. 발표된 계획을 보면, 정부는 천연가스 수요가 올해 3646만톤에서 2031년 4049만톤으로 연평균 0.81%씩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2029년 기준 13차 수급계획이 전망한 천연가스 수요는 4045만톤이다. 12차 수급계획 때는 같은 해 기준 4365만톤을 쓸 것으로 전망했었다.
계획보다 예상 수요량이 증가한 것은 에너지 전환 정책에 따라 LNG 발전 비중이 2017년 기준 16.9%에서 2030년 18.8%로 확대될 것을 전제했기 때문이다. 앞서 12차 때는 2029년 발전용 수요를 948만톤으로 봤고 13차 계획에서는 1765만 톤으로 늘려 잡았다.
수요 증가를 뒷받침하기 위해 산업부는 필요 물량을 선제적으로 획득하고, 경제성과 공급안전성 등을 고려해 도입 포트폴리오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구매처 다변화를 추진한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는 전체 천연가스 도입 물량의 30.8%를 카타르에서 수입하고 있다. 이어 오스트레일리아(호주)에서 18.6%, 오만에서 11.3%, 말레이시아에서 10%, 인도네시아에서 9.4%를 도입했다.
산업부는 최근 LNG 시장이 셰일가스 혁명에 따른 공급 과잉으로 구매자의 힘이 커지는 ’바이어스 마켓’(buyer’s market)인 점을 활용해 과거보다 유리한 조건을 모색한다. 국내에서 채 소비 못한 물량을 다른 나라에 팔지 못하게 하거나 구매량을 조정하지 못하게 하는 기존 계약 조건 개선 등이 대표적이다.
아울러 산업부는 유가 변동에 따른 가격 등락폭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가격 인덱스 다양화를 추진하고 기존 장기계약 중심 계약구조를 중장기·단기·스팟(현물) 거래 등으로 다변화한다.
안정적 수급을 위해 관리 체계 개선에도 나선다. 산업부는 우선 천연가스와 다른 에너지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수요처를 대상으로 국가 수급상 필요시 일시적으로 도시가스를 LPG 등으로 대체 가능하게 하는 ’연료 대체 계약’을 통해 수급관리 수단을 확충한다.
또 직수입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산업부-가스공사-직수입자가 참여하는 ’천연가스 수급협의회’를 구성해 운영하고 상반기 중 이들 간 협력 양해각서(MOU) 체결을 추진한다. 직수입자의 가스 수급에 대한 모니터링도 강화할 예정이다.
천연가스 공급 인프라 확충 계획도 내놨다. 우선 2031년까지 약 5.8조원을 투자해 저장탱크 10기가 밀집하는 제5 기지를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또 천연가스 미공급지역 8곳(양양, 진안, 제주, 서귀포, 청양, 합천, 산청, 하동 등) 지방자치단체에 2021년까지 천연가스를 보급해 216개 지자체엔 도시가스 공급을 완료하고, 나머지 13곳(화천, 청송, 장수, 영양, 인제, 양구, 철원, 옹진, 신안, 남해, 진도, 완도, 울릉 등)엔 군 단위 엘피지(LPG) 배관망을 보급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는 LNG 추진선 확대에 대비해 LNG 벙커링 인프라 구축 등 수송분야 천연가스 수요 확대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복한 상태기반 정비 시스템, 지능형 설비운영 시스템 구축 등 공급설비 고도화도 추진한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