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남북경협’ 시대 열린다
③ 자원·에너지 시너지 효과 기대
‘러 천연가스 도입 구상’ 다시 주목
남 물류비 줄이고, 북 수수료 수익
동아시아 ‘에너지 물류’ 확 바뀔 듯
③ 자원·에너지 시너지 효과 기대
‘러 천연가스 도입 구상’ 다시 주목
남 물류비 줄이고, 북 수수료 수익
동아시아 ‘에너지 물류’ 확 바뀔 듯
남-북-러 가스관 연결 사업도 재조명받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남북 정상회담 이틀 뒤 문재인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철도, 가스, 전력 등이 시베리아를 거쳐 한반도로 연결될 경우 한반도의 안정과 번영에 기여할 것”이라며 남-북-러 3각 협력에 높은 관심을 표명했다. 문 대통령도 “3국이 공동 연구에 착수했으면 좋겠다”며 호응했다.
남-북-러 가스관 연결이 현실화하면 동아시아 경제권의 ‘에너지 물류’ 지도가 크게 바뀔 것으로 평가된다. 우리는 중동과 동남아시아, 미국 등에서 액화한 가스(엘엔지)를 배로 운송하느라 써야 했던 돈을 아끼고, 러시아 사할린 등에서 생산되는 가스를 하바롭스크~블라디보스토크~북한을 지나는 가스관을 통해 저렴하게 들여올 수 있게 된다. 북한은 안정적인 통관 수수료 수익을 올릴 수 있고, 파이프라인 건설 사업 참여도 가능하다. 러시아는 오래전부터 유럽 중심의 수출 전략을 수정해 시장을 다변화하려고 해왔다.
러시아 천연가스 도입 구상은 1990년대 초부터 있었지만 ‘장밋빛 미래’처럼 다뤄졌다. 그러다 이명박 정부 들어 구체적인 방안이 논의됐다. 2008년 9월 한·러 정상은 러시아 가스의 한국 도입에 전격 합의했고, 같은 날 가스공사와 러시아 국영 가스회사 가스프롬은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양해각서에는 30년간 한국이 러시아로부터 연간 10bcm(당시 한국 가스소비량의 약 27%)의 도입, 블라디보스토크~북한~한국을 잇는 파이프라인 건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엘엔지 병행 도입 검토, 극동지역 엘엔지 플랜트(천연가스 액화 공장) 건설·공동운영 사업 타당성 조사 등이 담겼다. 그러나 천안함·연평도 사건이 터지는 등 남북관계가 경색되며 진전되지 못했다.
북한 역시 이 사업에 큰 관심을 보여왔다. 2011년 9월 러시아를 방문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가스관 연결 사업에 강한 의지를 표하자, 우리 정부와 러시아도 사업 물꼬를 다시 틔우기 위해 신속히 논의를 이어갔다. 그해 11월2일에는 한·러 정상이 다시 만나 이듬해 1월까지 세 나라가 도입 조건, 가격 등에 대한 협상을 마무리하고 가스관 연결 공사에 착수해, 2017년 1월부터 공급한다는 로드맵에 뜻을 모았다. 그러나 이번에는 2011년 12월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으로 무기한 중단됐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
이슈한반도 평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