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 개발로 망가진 환경을 복구하는 일을 하는 한국광해관리공단이 대북사업 전담팀을 신설할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북한의 낙후된 광산 개발 기술 때문에 생긴 ‘광해’(광산 개발에 따른 환경피해와 지역경제를 일컫는 말) 복구 사업에 나서겠다는 구상이다.
이청룡 광해관리공단 이사장은 이날 “광해 관리 협력 사업을 발굴해 새로운 남북 번영 시대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며 “남북 경제협력 사업을 위한 다각적인 네트워크 구축과 내부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광해관리공단은 인도적 차원의 북한 환경보전 사업이 이른 시일 내에 시행 가능하고, 또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공단 쪽은 ”위성사진 분석과 북한 이탈 주민 인터뷰 자료 등을 종합하면, 북한은 무분별한 광산 개발과 낙후된 기술로 광물 찌꺼기 적치장이 붕괴하고, 침출수가 유출되는 등 광해가 만연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신설되는 대북사업 전담팀은 북중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기술인력을 교육하고 시범사업을 추진하는 것을 단기 목표로 한다. 또 북한과 중국 연변 지역에 ‘광해방지교육센터’를 설치해 운영하는 방안도 구상하고 있다.
한편,
정부는 광해관리공단과 이명박 정부 시절 진행된 해외 자원개발 사업으로 자본잠식된 광물자원공사를
통합해 ‘한국광업공단’(가칭)을 만드는 법안을 준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두 기관의 대북사업은 향후 통합·신설되는 기관에서 집행될 가능성이 크다. 광물자원공사도 최근 정촌 사업정상화분과, 한반도 신경제지도분과, 민간지원분과 등 3개 분과 22명으로 ‘남북자원개발사업단’을 구성했다.
통합과 관련해 이 이사장은 “두 기관의 동반부실이 방지되고 기존 사업을 안정적으로 지속하는 것이 통합의 원칙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