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된 주력업종에 대한 단기 처방 필요
금융 부담 완화, 수요 창출 방안 담길듯
재생에너지 산업 육성 위한 대책도 준비
“새만금 클러스터, 지역과 사업자 의욕 높아 좋은 조건”
금융 부담 완화, 수요 창출 방안 담길듯
재생에너지 산업 육성 위한 대책도 준비
“새만금 클러스터, 지역과 사업자 의욕 높아 좋은 조건”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올해 안에 자동차와 조선업 단기 활성화 대책을 각각 내겠다고 30일 밝혔다. 전후방 산업 파급 및 고용 유발 효과가 큰 두 주력 산업의 침체가 계속되자, 위기 상황에 몰린 기업들에 추가 금융 지원을 하는 등 단기 대책을 강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성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 주변 한 식당에서 기자들을 만나 “조선산업 대책을 11월 중순에, 자동차 부품 대책은 11월 말이나 12월 초에 내놓을 계획”이라며 “금융 부담을 완화하고 규제혁신으로 애로사항을 풀어주며, 수요를 창출하는 활성화 대책을 내겠다”고 말했다. 성 장관은 “수요나 경기적 어려움이 다가오고 있고 (일부) 업계의 구조조정이 오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제조업 혁신을 하려면 단기적 활성화를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지난 29일 금융위원회·중소벤처기업부는 ‘줄도산 우려’가 제기된 자동차 부품 산업을 위해 1조원 상당의 정책 보증 프로그램을 가동한다고 밝힌 바 있다. 성 장관은 “1조원 금융 지원 대책을 보완해 수요 증가와 대기업·중소기업 간 상생, 미래 경쟁력 활보를 위한 전략 등을 대책에 담을 것”이라고도 했다.
정부가 전날 발표한 4GW(기가와트) 규모 전북 새만금 태양광·풍력발전단지 조성 계획에 대해서 성 장관은 “다른 사업과 비교했을 때 굉장히 좋은 조건”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부에서 해당 계획에 대한 지역 내 의견수렴 및 소통이 부족했다고 비판하는 것과 달리, “재생에너지 사업을 잘하려면 지방자치단체와 주민 협조가 필수인데 새만금 지역이 가진 이 사업에 대한 열의, 사업자들의 참여 하고자 하는 의욕, 이런 것을 보면 입지 조건이나 여러 면에서 우수하다”고 말했다.
산업부는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30년까지 20%로 확대하는 ‘재생에너지 3020’ 추진 계획을 지난해 말 발표한 데 이어, 올해 안에 재생에너지 보급을 넘어선 ‘산업 육성’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기도 하다. 성 장관은 “10개 정도 과제를 선정해서 재생에너지 산업 생태계를 형성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