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기 둔화 등에 따라
수출증가율은 6.7%에서 3.7%로↓
“안정적 성장 위한 강력한 내수 진작책 필요”
수출증가율은 6.7%에서 3.7%로↓
“안정적 성장 위한 강력한 내수 진작책 필요”
국책 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이 내년 경제성장률을 올해보다 0.1%포인트 낮은 2.6%로 전망했다. 선진국은 물론, 개도국에서의 성장률도 정체하며 수출과 투자가 모두 소폭 증가에 그치고 소비 또한 올해보다 둔화할 것으로 예상한 데 따른 것이다. 저성장 시대에 본격 돌입한 만큼 산업연구원은 “안정적 성장을 위한 강력한 내수 진작책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산업연구원은 26일 내놓은 ‘2019년 경제·산업 전망’에서 내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2.6%로 예상했다. 지난 6월 산업연구원은 올해 성장률을 3.0%에서 2.7%로 하향 조정한 바 있다.
국내 경제에 특히 영향이 큰 수출을 보면, 내년 증가율은 3.7%로 예상됐다. 올해 9월까지의 누적 증가율(4.7%), 올해 수출 증가율 전망치(6.4%)보다 낮다. 산업연구원은 ”세계 경제 성장세 둔화로 물량 증가는 소폭에 그칠 것”이라며 “반도체 가격이 하락하고 국제유가가 횡보할 경우 수출단가 하락 압력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수입은 국내경기 성장세 약화 등으로 4.5%가 예상돼 무역흑자는 올해보다 약간 줄어든 약 740억달러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별로 보면 13대 주력산업 가운데 조선(13.8%), 정유(6.1%), 반도체(9.3%), 이차전지(8.6%) 등 8개 산업은 수출 증가가 예상된다. 반면, 자동차(-0.2%), 철강(-3.3%), 가전(-7.5%), 디스플레이(-2.5%) 등 5개 업종은 수출이 감소할 전망이다. 자동차, 섬유처럼 고용효과가 큰 산업의 수출은 줄고, 반도체, 석유화학처럼 고용 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은 산업의 수출은 늘어남에 따라 수출 증대가 고용 확대로 연결되지 못하는 현상은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산업연구원은 내년 소비 증가율은 체감경기 및 소득여건 악화로 2.6%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설비투자는 소폭(1.9%) 증가세로 돌아서겠지만, 건설 투자는 정부의 부동산 시장 안정화 대책과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감축 등의 영향으로 감소(-3.1%)폭이 커질 전망이다.
산업연구원은 “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위해 민간소비의 회복 여부가 관건”이라며 “소득주도 성장, 일자리 창출, 공정경쟁 및 혁신성장 등의 체계적인 추진과 더불어 강력한 내수 진작책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또 “수출 확대와 국내 생산 간 선순환 연계가 약화하는 구조적 문제점을 극복하고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서도 내수 진작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