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29일 오후 무역보험공사 대회의실에서 2차 수출통상대응반 회의를 주재하는 모습.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정부가 전체 수출의 약 4.6% 비중을 차지하는 소비재를 새로운 수출 주력품목으로 육성하기 위해 한류마케팅과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전자상거래 수출 기술 및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 주재로 ‘2차 수출통상대응반’ 회의를 열어 소비재, 바이오, 2차 전지와 같은 새로운 수출 성장동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무역투자진흥공사·무역보험공사·수출입은행 등 수출 지원기관과 주요 업종별 단체 부기관장, 기획재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농림축산식품부 등 8개 부처 실·국장급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들은 5월 발표 예정인 소비재 수출 확대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화장품, 패션의류, 생활 유아용품, 의약품, 농수산식품 등 5대 유망 소비재의 2018년 수출 규모는 277억달러다. 산업부는 “한류와 신기술을 활용한 프리미엄 제품 개발, 소비재 특성을 반영한 수출 마케팅 지원 강화, 인증·통관 등 비관세 장벽 해소, 지식재산권 침해 대응 등을 논의했다”며 “5월 중에 소비재 수출 확대 방안을 마련해 발표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바이오·헬스 분야 수출 전략도 논의됐다. 보건복지부는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체코, 미국 등 13개 거점 공관을 통해 전략 시장에 대한 맞춤형 정보를 업계에 제공하고 상담회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올해 1분기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12% 성장한 이차전지에 대해서는 산업부가 차세대 핵심기술 개발과 상용화 연구·개발(R&D)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차세대 이차전지로는 에너지 밀도와 안정성이 개선된 전고체전지, 리튬-공기(메탈) 전지, 리튬-황전지 등이 꼽힌다.
국토교통부는 1조5천억원 규모의 글로벌 플랜트 건설 스마트시티 펀드를 연내 조속히 조성해 국내 기업의 투자개발사업 금융 조달 능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국외 진출 마케팅 자금, 현지화 제작비 및 현지 운영자금을 지원하기 위한 ‘신한류 보증제도’를 신설하겠다고 했다. 농식품부와 해양수산부도 수출 기업을 어렵게 하는 각종 비관세장벽에 대응할 수 있는 지원대책을 공유했다.
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은 “한국 경제의 성장세가 다시 회복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수출지원기관 모두 위기의식을 갖고 수출 지원 노력을 더욱 강화해달라”고 당부하며 “수출통상대응반이 수출을 통한 경제의 지속 성장을 위해 앞장서서 길을 터야 한다”고 말했다.
수출통상대응반은 범정부 차원의 민·관 합동 수출 총력 지원체계의 하나다. 지난 2월11일 열렸던 첫 회의에서는 수출 기업에 기존보다 15조3천억원이 증가한 총 235조원의 무역금융을 지원하기로 하는 등 수출 활력 제고 대책을 논의했다. 수출 총력 지원체계는 산업부 장관과 무역협회 회장이 공동 주재하는 ‘민·관 합동 수출전략조정회의’가 콘트롤타워가 되며, 수출통상대응반이 현안을 점검하고 산업부·중소벤처기업부·무역협회·코트라와 같은 유관기관으로 구성된 수출 활력 촉진단이 개별 기업의 현장 애로를 지원하는 등의 현장 대응을 하고 있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