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패션 의류, 생활유아용품, 의약품, 농수산식품 등 5대 유망 소비재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정부가 금융·마케팅을 두 축으로 지원을 늘리기로 했다. 무역보험 규모를 키우고, 기업들의 온·오프라인 유통망 진입을 돕는다. 5대 소비자 수출을 2022년까지 350억달러로 키운다는 목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기획재정부·보건복지부·중소벤처기업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마련한 ‘소비재 수출 활성화 방안’이 12일 열린 17차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확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은 하락세인 수출을 되살리기 위해 지난 3월 정부가 내놓은 수출 활력 제고 대책 중 ‘신수출 성장 동력 육성 대책’의 연장선이다. 5대 소비재는 전체 수출 부진 중에도 탄탄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 사이 수출액이 200억달러에서 277억달러로 증가했고, 수출 비중은 3.5%에서 4.6%로 늘었다.
추려진 7대 핵심 과제 가운데 첫째는 무역금융 지원 확대다. 무역보험 규모는 지난해 4조8천억원에서 66.7% 늘어난 8조원으로 확대하고 수출보험 할인율은 기존 25%에서 35%로 높인다. 한국 기업이 현지 유통·판매망을 늘리는 데 필요한 자금은 해외 사업 금융보험과 해외 투자 보험 등 정책 금융으로 지원한다.
브랜드 이미지가 중요한 화장품, 의약품 등의 프랑스 라파예트백화점, 영국 해로즈백화점, 미국 웨그먼스 등 주요국 10여개 프리미엄 유통망 진입도 돕는다. 일반의약품(OTC), 전문의약품(ETC) 등 부가가치가 높은 제약·화장품 분야 소비재는 국외 헬스앤드뷰티(H&B) 유통망에 진입할 수 있게 지원한다. 코트라(KOTRA)를 통해 온라인 플랫폼 판촉전이나 입점 설명회 등 전자상거래 기반 판로 개척을 지원하는 것도 병행된다.
중국 최대 소비재 전시회 ‘칸톤 페어’처럼 대규모 종합 소비재 전시회도 만들 계획이다. 기존의 국내 소비재 수출전시회를 통합·연계 개최해 2022년까지 1만개 기업 이상이 참여하는 대형 전시회를 꾸리는 것이 목표다. 5대 유망소비재를 위한 연구·개발 예산으로는 올해만 1950억원이 책정됐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소비재 수출 기업이 현장에서 가장 필요로하는 부분을 반영하고자 노력했다”며 “한류 확대와 전자상거래 확산 등을 바탕으로 중국·아세안 등 신흥국뿐 아니라 미국·유럽 등 선진국 시장에서도 우리 소비재의 선전이 기대되는 만큼 범부처 차원에서 지원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