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지(LG)화학이 3일 입장문을 내어 에스케이(SK)이노베이션을 상대로 “본질을 호도하는 여론전을 그만두고 소송에 성실하고 당당하게 임하길 촉구한다”며 “경쟁사에서 (영업비밀 침해) 잘못을 인정하는 한편, 손해배상 방안을 진지하게 논의할 의사가 있다면 양사 최고경영자를 주체로 대화에 응할 것”이라고 했다. 지난달 30일 에스케이이노베이션이 엘지화학을 특허 침해로 미국에서 제소하겠다고 밝히고 나흘 만에 나온 입장이다.
앞서 에스케이이노베이션은 엘지화학이 지난 4월 인력 유출을 통한 영업비밀로 미국 무역위원회(ITC)와 델라웨어주 지방법원에서 제소하자, 피소 4개월 만에 특허권으로 맞대응할 방침을 시사했다. 물고 물리는 소송전이 시작된 것이다. 에스케이이노베이션은 특허권 침해 제소 계획을 밝힐 당시 엘지화학이 “대화를 거부하고 있다”며 “엘지화학은 국민경제 발전을 위해 협력해야 할 파트너다. 대화의 문은 항상 열어놓고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엘지화학 쪽은 이날 “본질을 호도하는 여론전”이라며 “핵심기술과 영업비밀 보호를 위해 제기한 정당한 소송을 국익 훼손이라 비난한 것은 어불성설이다. (에스케이이노베이션이) 적반하장격 행위들로 소송의 본질을 심하게 훼손하고 있다”고 했다.
엘지화학은 에스케이이노베이션이 경력직 채용을 통해 엘지화학의 핵심기술을 유출해간 것이 사태의 본질이라고 주장해 왔다. 엘지화학은 이날에도 에스케이이노베이션은 “경력직 공개채용 방식을 이용했으나, 실제로는 헤드헌터와 전직자들을 통해 특정 분야의 인원을 타기팅한 후(목표로 삼은 후) 입사지원을 적극 권유했다”며 “계획적인 채용 절차를 거쳐 선발한 인원을 2차전지 개발·수주에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엘지화학은 에스케이이노베이션이 경력 이직자들의 “입사 지원사를 파기했다고 하는 것은 합리적 해명이 아니다”라며 “누구의 지시로 누가 언제 어떻게 파기했는지 밝혀야 한다”고도 했다. 한편, 에스케이이노베이션은 엘지화학이 문제 삼는 인력 이동은 더 만은 조건과 환경을 선택한 자발적인 이직이라고 설명해왔다.
엘지화학은 에스케이이노베이션이 ‘엘지화학이 대화에 응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한 데 대해서도 반박했다. 엘지화학은 “분명히 밝히지만 경쟁사는 대화 의사를 (제3자를 통해) 간접적으로만 밝혔을 뿐 한번도 직접적 대화 요청을 해온 바가 없다”며 “본질을 호도하는 행위가 계속된다면 묵과하지 않고 법적 조처 적극 확대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에스케이이노베이션이) 잘못을 인정하고 진정성 있는 사과 및 재발방지를 약속하는 한편, 이에 따른 손해배상 방안을 진지하게 논의할 의사가 있다면 언제든 대화에 응할 것”이라며 “대화의 주체는 소송 당사자인 양사 최고경영진이 진행하면 될 것”이라고 했다. 일각에서 나오는 ‘양 총수 역할론’에 선을 그은 것으로 보인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