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회 ‘코로나19 수출영향 및 전망’
올해 1분기(1~3월) 한국 수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일본 등 주요 국가보다는 코로나19 타격을 덜 받아 ‘선방’한 모양새지만, 2분기 수출 전망은 더욱 어둡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7일 ‘코로나19의 수출 영향 및 전망’ 보고서에서 1분기 국내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4% 감소했다고 밝혔다. 미국 -3.1%, 독일 -4.0%, 일본 -5.4%, 홍콩 -10.7% 등 주요 국가는 한국보다 훨씬 하락 폭이 컸다. 특히 인도(-12.8%)와 중국(-13.4%)의 감소율은 한국의 9배가 넘어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1분기 수출이 주요 경쟁국과 비교해 선방할 수 있었던 원인으로 반도체 가격하락, 국제유가 급락 등으로 인해 단가가 7.7% 하락했는데도, 기존 계약분이 물량은 오히려 5.8% 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문병기 수석연구원은 “다른 나라에 비해 국내 공장 가동에 타격이 상대적으로 적어 물량이 늘었다”고 말했다.
2분기 수출 실적 전망은 어둡다. 3월까지는 중국과 동남아시아, 중남미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부진했지만, 4월에는 미국과 유럽 내 자동차 공장의 가동 중단과 소비 위축 등의 영향으로 미국, 유럽연합(EU) 등도 하루 평균 수출이 플러스에서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주요 업종별로는 자동차, 스마트폰, 가전, 전기·전자 등 전방산업 수요 둔화하면서 반도체, 석유화학, 디스플레이 등의 수출이 감소세다. 제조업과 건설경기 위축으로 철강, 기계 등의 수요도 감소하고 있다. 2∼4월 하루평균 수출 감소분의 72.4%를 석유제품, 석유화학, 선박, 자동차, 반도체가 차지했다.
연구진은 2분기에 가장 큰 수출 감소율을 보인 뒤, U자 반등을 기대했다. 이후 코로나19를 계기로 위생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청정가전, 의료용품・의약품, 건강식품, 위생용품, 홈뷰티, 홈쿠킹, 디지털장비 등 7대 유망 소비재의 수출이 활발할 것으로 내다봤다. 문병기 수석연구원은 “세계적인 경기 부양책의 효과로 3분기 이후 유망 소비재를 중심으로 수출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우리 기업들은 수출시장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해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경영전략 재점검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는 한편, 정부는 수출 기업의 해외 마케팅에 더욱 많은 관심과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