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저비용항공사(LCC) 업계 1위인 제주항공이 코로나19 충격을 고스란히 받은 ‘마이너스’ 2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조만간 실적을 공개할 다른 엘시시들도 지난해와 1분기 대비 악화한 실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제주항공은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손실이 84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74억원)과 견줘 208.8%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고 5일 공시했다. 이는 증권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밝힌 영업손실 컨센서스(실적추정치) 854억원과 거의 비슷하다. 매출액은 360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3130억원)과 비교해 88.5% 감소했다. 당기순손실은 83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94억원)과 견줘 182% 줄었다. 올해 1분기 매출액과 영업손실은 각각 2292억원, 657억원이었다.
그나마 1분기(1~3월)에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았던 코로나19 여파가 4~6월에는 국제선 대부분 운항을 멈추게 되면서 고스란히 충격을 받게 됐다. 제주항공은 현재 국제선 76개 중 4개 노선만 운항 중이다. 국내선은 부정기편(2개 노선)을 제외하고 8개 노선에 비행기를 띄우고 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코로나19로 대부분의 국제선 노선을 축소하고 여행수요가 급감한 것이 주요 원인”이라며 “현재로서는 턴어라운드(흑자전환) 시기 예상조차 말씀드릴 수 없는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