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이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윌셔그랜드센터(윌셔센터)를 운영 중인 자회사 한진인터내셔널에 9억5천만달러(약 1조1215억원)를 빌려주기로 했다. 대한항공도 코로나19 자금난이 심해지면서 한진인터내셔널의 차입금 만기 상환을 앞두고 윌셔센터의 매각설이 돌았지만, 대한항공이 자회사에 긴급수혈하는 방식으로 우선 디폴트를 막고 회사를 지키기로 결정한 것이다.
대한항공은 지난 16일 오후 서울 서소문 사옥에서 이사회를 열고 이런 자금 대여안을 심의·의결했다고 17일 밝혔다. 한진인터내셔널은 1989년 미국 캘리포니아에 설립된 회사로, 대한항공이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2017년부터는 윌셔그랜드센터를 재건축해 운영 중이다.
한진인터내셔널은 대한항공이 긴급 수혈한 9억5천만달러 중 9억달러는 이달 중 만기가 도래하는 차입금을 상환하는 데 사용할 예정이다. 나머지 5천만 달러는 호텔산업 경색으로 부족해진 운영자금으로 충당한다. 대한항공은 한진인터내셔널에 제공하는 대여금은 1년 이내에 대부분 회수된다고 밝혔다.
우선 전체 9억5천만달러 중 3억달러는 이달 말 대한항공이 2년 만기로 수출입은행에서 대출을 받아 이를 다시 한진인터내셔널에 빌려줄 예정이다. 수은은 앞서 한진인터내셔널이 9억달러 규모로 채권을 발행할 때 3억달러에 대해서 보증을 선 바 있다. 수은 관계자는 “기존 보증 연장 대신 대출로 리파이낸싱(자금재조달)을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나머지 6억5천만달러는 대한항공이 1년 만기로 한진인터내셔널에 자체자금을 빌려준 뒤, 상환받기로 했다.
이 가운데 3억달러는 대한항공이 미국 현지에서 한진인터내셔널의 지분에 관심이 있는 투자자와 브릿지론(단기차입 등에 의해 필요자금을 일시적으로 조달하는 대출)을 협의해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 때문에 대한항공은 한진인터내셔널 지분의 일부 매각을 논의 중이다. 나머지 3억달러는 내년에 호텔·부동산 시장의 위축이 해소되고 금융시장이 안정화되는 시점에 한진인터내셔널이 담보대출을 받아 이를 돌려받는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말 기준 한진인터내셔널의 부채 규모만 1조1천억원으로, 매출은 1600억원, 당기순손실은 1072억원이었다.
박수지 이완 기자
suji@hani.co.kr